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논산시

다른 표기 언어 論山市
요약 테이블
위치 충청남도 남부
인구 110,336 (2024)
면적 554.81㎢
행정구역 2개읍 11개면 2개동
사이트 http://www.nonsan.go.kr/

요약 충청남도 남부에 있는 시. 육군훈련소의 소재지이다. 논산역에는 KTX가 정차하며, 국도 3개 호선과 논산천안고속도로·호남고속도로가 통과하여 교통이 편리한 지역이다. 특산물로 딸기·젓갈·막걸리 등이 유명하다. 면적 554.81㎢, 인구 110,336(2024).

대한민국 충청남도 남부에 있는 시. 우리나라 주요 식량 공급지이며, 연무읍에 신병훈련소가 있어 군사적 기능도 큰 곳이다. 1996년 논산군이 논산시로 승격되었다. 행정구역은 강경읍·연무읍·가야곡면·광석면·성동면·노성면·상월면·부적면·연산면·벌곡면·양촌면·은진면·채운면·취암동·부창동 등 2개읍 11개면 2개동이 있다(행정동 기준, 법정동 기준은 11개). 시청소재지는 시민로이다. 면적 554.81㎢, 인구 110,336(2024).

논산시 전경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연혁

논산시는 조선시대의 은진현·연산현·노성현 등 3개의 현이 있던 곳이어서 풍부한 문화유적이 분포되어 있다. 지금의 강경읍·연무읍·은진면·채운면·가야곡면·취암동·부창동 등 서남부는 옛 은진현 지역에, 연산면·두마면·부적면·벌곡면·양촌면 등의 동남부는 옛 연산현 지역에, 노성면·상월면·광석면 등 북부는 옛 노성현 지역에 해당한다. 성동면은 본래 석성군 원북면 지역이었다.

1895년 지방제도 개편으로 3현이 군이 되어 공주부 관할이 되었다가 1896년 도제 실시로 충청남도에 속했다. 1906년 월경지정리 때 여산군의 두입지(斗入地)인 채운면이 은진군에 소속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은진군·연산군·노성군의 소사면을 제외한 전역과 석성군·공주군·진잠군의 일부 등이 통합되어 논산군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31년 강경면이, 1938년 논산면이 각각 읍으로 승격되었다.

조선 후기 3대 시장의 하나로 서해 최대의 포구였던 강경포를 중심으로 상업도시로 발전한 강경읍은 군산항 개항, 경부선 개통, 호남선 개통 등으로 그 기능이 점차 축소되다가 6·25전쟁 이후 결정적으로 쇠퇴했다. 6·25전쟁 이후 육군 제2훈련소가 들어섬에 따라 성장한 구자곡면이 1963년 전라북도 익산군 황화면 일원을 편입, 연무읍으로 승격했다. 1996년 논산군이 논산시로 승격되면서 논산읍이 11개동으로 분할되었다. 2003년 두마면이 계룡시로 분리되었다.

인구

1995년 시로 승격된 이후 2000년대 들어 인구감소가 지속되었다. 2000년 인구 14만 2,828명에서 2005년 13만 5,210명, 2010년 13만 311명, 2015년 12만 4,232명으로 감소했다. 2024년 기준 인구는 11만 336명이며 가구수는 5만 7,615가구, 가구당 인구는 1.92명이다. 읍면별 인구분포를 살펴보면 연무읍(1만 2,773명)과 강경읍(7,437명)에 인구가 가장 많으며 면 단위에서는 양촌면(5,965명)·연산면(5,811명) 순으로 많다. 채운면(2,078명)과 벌곡면(2,370명)에는 가장 적은 인구가 거주한다. 한편 취암동(3만 4,530명)에는 시 전체 행정구역 중 가장 많은 인구가 살고 있다.

연혁

논산시는 조선시대의 은진현·연산현·노성현 등 3개의 현이 있던 곳이어서 풍부한 문화유적이 분포되어 있다. 지금의 강경읍·연무읍·은진면·채운면·가야곡면·취암동·부창동 등 서남부는 옛 은진현 지역에, 연산면·두마면·부적면·벌곡면·양촌면 등의 동남부는 옛 연산현 지역에, 노성면·상월면·광석면 등 북부는 옛 노성현 지역에 해당한다. 성동면은 본래 석성군 원북면 지역이었다.

1895년 지방제도 개편으로 3현이 군이 되어 공주부 관할이 되었다가 1896년 도제 실시로 충청남도에 속했다. 1906년 월경지정리 때 여산군의 두입지(斗入地)인 채운면이 은진군에 소속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은진군·연산군·노성군의 소사면을 제외한 전역과 석성군·공주군·진잠군의 일부 등이 통합되어 논산군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31년 강경면이, 1938년 논산면이 각각 읍으로 승격되었다. 조선 후기 3대 시장의 하나로 서해 최대의 포구였던 강경포를 중심으로 상업도시로 발전한 강경읍은 군산항 개항, 경부선 개통, 호남선 개통 등으로 그 기능이 점차 축소되다가 6·25전쟁 이후 결정적으로 쇠퇴했다.

6·25전쟁 이후 육군 제2훈련소가 들어섬에 따라 성장한 구자곡면이 1963년 전라북도 익산군 황화면 일원을 편입, 연무읍으로 승격했다. 1996년 논산군이 논산시로 승격되면서 논산읍이 11개동으로 분할되었다. 2003년 두마면이 계룡시로 분리되었다.

자연환경

대둔산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논산시의 남동부에는 대둔산(878m) 줄기의 월성봉(650m)·바랑산(555m) 등이, 북동부에는 계룡산(845m) 줄기의 황적봉(664m)·관암산(826m)·향적산(574m) 등이 산지를 이루며, 그밖의 지역은 대체로 100m 내외의 낮은 구릉지와 넓은 평야를 이룬다.

계룡산과 대둔산 줄기에서 각각 발원한 노성천·연산천과 논산천 등이 시의 중앙을 서쪽으로 흘러 강경천과 합류한 뒤 금강으로 흘러든다. 토양은 대부분 하천에 의해 퇴적된 충적토이며, 하천 유역에는 넓고 기름진 논산평야가 있다.

연평균기온은 13.5℃ 내외이며, 1월평균기온은 -5.0℃ 내외, 8월평균기온은 28.2℃ 내외, 연평균강수량은 1,441.9㎜ 정도로 해마다 기온과 강수량이 상승하고 있다. 침엽수림이 임야의 절반을 차지하며, 동부 산지에는 전나무·잣나무·대나무·차나무·동백나무 등의 다양한 수종이 분포한다.

산업·교통

총경지면적 210.64㎢ 가운데 논이 154.34㎢, 밭이 56.30㎢를 차지하고 있으며, 경지율은 38%로 비교적 높은 편이다(2006). 그밖에 임야면적 241.2㎢, 과수원면적 3.29㎢이다.

주요농산물은 쌀·보리·채소·딸기·사과 등이며, 그밖에 양송이·영지 등의 버섯류와 취나물 등도 많이 난다. 특히 버섯재배가 활발하여 1년에 258t을 생산한다. 백작약·모란·당귀 등의 약용작물과 잎담배·인삼 등이 소규모로 재배된다. 수산물로는 과거 임금에게 진상했던 노성천 유역의 참게가 유명했으나 현재는 거의 멸종되었고, 논산(탑정)저수지를 중심으로 열대어 양식을 비롯한 내수면어업이 행해지고 있다. 축산업 가운데 양계업은 천연기념물인 약닭·오골계 사육을 중심으로 연산면에서 대규모로 행해지고, 양돈업은 전지역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낙농업도 점차 활기를 띠고 있다.

제조업은 주로 군납을 위한 간장·된장·고추장 등의 농산물가공업과 잎담배가공업·도정업·양조업 등이 발달해 있으며, 약간의 섬유·기계·화학 공업도 행해진다.

1952년 육군 제2훈련소가 들어선 이후 각종 서비스업이 발달했으며, 시장은 정기공설시장 4개소, 일반사설시장 2개소, 백화점 1개소 등이 있다.

호남선이 시의 중앙부를 지나며, 채운면과 연무읍 사이에 연무지선이 연결된다. 시의 남서부를 호남고속도로가 남북으로 관통하며, 시가지를 중심으로 대전·공주·부여·익산 방면의 지방도가 사방으로 뻗어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도로총길이는 426.13km, 도로포장률 85.4%이며, 대전과 40분 이내의 거리에 있다(2006).

논산역

ⓒ 인생살이/wikipedia | CC BY-SA 4.0

유물·유적·관광

개태사석조삼존불상

개태사석조삼존불상(고려), 보물 제219호, 높이 본존상 415cm, 우협시보살상 346cm, 좌협시보살상 349cm, 충남 논산시 연산면 천호리

ⓒ Daum 백과사전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시내에는 국가지정문화재 11점(보물 6, 천연기념물 1, 사적 2, 중요민속자료 2)과 도지정문화재 43점(유형문화재 23, 기념물 15, 민속자료 4, 무형문화재 1), 문화재자료 33점, 등록문화재 4점이 있다. 논산 신기리 지석묘(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78호)와 원봉리의 남방식 지석묘가 있으며, 특히 신기리에서 출토된 마제석검과 석촉은 학술적 가치가 크다.

산성으로는 황산성·외성산성·노성산성 등이 있으며, 봉수로는 강경·노성·황화 봉수 등이 있다.

불교문화재로는 관촉사석조미륵보살입상(보물 제218호)·관촉사석등(보물 제232호)·관촉사배례석(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53호)과 쌍계사대웅전(보물 제408호)·개태사지석불입상(보물 제219호)·철확(충청남도 민속자료 제1호) 등이 있다. 유교문화재로는 은진향교대성전·노성향교대성전과 팔괘정(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76호)·임리정(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67호) 등이 있다.

그밖에도 견훤·계백 장군의 것으로 전해지는 묘를 비롯한 각종 능묘 및 비석과 계룡산신도내주초석석재(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66호)·윤증선생고택·성주도씨종중문서·남양전씨종중문서 등이 있으며, 오골계가 천연기념물 제265호로 지정되어 있다.

시내에는 계룡산국립공원·대둔산도립공원 등의 자연관광지와 황화산성·관촉사·개태사지 등의 역사문화유적지가 어우러져 연중 많은 관광객이 찾아든다. 중심시가지와 강경읍·연무읍에는 관광객을 위한 여관·식당과 각종 위락시설이 잘 갖추어졌으며, 각 사찰 입구에는 소규모 관광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교육·문화·의료·복지

최초의 전통 교육기관은 1380년에 설립된 교동리의 은진향교이며, 근대 교육기관으로는 강경공립보통학교가 1907년에 개교했다. 1910년을 전후해 논산의 영화학교·만동학교·진광학교 등의 종교계 사학기관과 일반계 사학기관이 설립되었으나 1915년 이후 점차 폐교되었고, 1911년에는 1면 1교의 교육체제가 갖추어졌다. 2017년 기준 유치원 32개소, 초등학교 33개교, 중학교 14개교, 고등학교 13개교, 전문대학 1개교, 대학교 2개교, 대학원 1개교가 있다.

건양대학교

충청남도 논산시에 위치한 건양대학교

ⓒ Kdammers/wikipedia | GFDL

시내에는 공공도서관 4개소에 장서가 1만 3,000여 권 소장되어 있으며, 연간 이용자수는 3만여 명이다. 특히 1972년에 개관한 논산도서관은 이 지방 교육 및 문화 발전에 도움을 주고 있다. 1957년 개원한 논산문화원은 향토문화의 보전 및 개발에 기여하고 있다.

민속놀이로는 윷놀이·널뛰기·씨름·고누·닭잡기 등이 있으며, 강경읍 채운리, 가야곡면 육곡리 등지에서 다양한 형태의 부락제가 행해지고 있다. 설화로는 〈관촉사은진미륵전설〉이 유명하며, 〈어희요〉와 같은 민요와 〈새쫓기노래〉·〈자장가〉·〈파랑새〉 등의 동요가 전해진다.

2016년 기준 의료기관으로는 종합병원 1개소, 병원 1개소, 의원 81개소, 특수병원 1개소, 요양병원 11개소, 치과병원 31개소, 한의원 38개소, 보건소 관련 의료기관 40개소가 있다. 사회복지시설로는 노인여가복지시설 526개소, 노인주거복지시설 7개소, 노인의료복지시설 40개소, 재가노인복지시설 4개소, 아동복지시설 3개소, 장애인복지시설 5개소, 여성복지시설 1개소, 정신보건시설 4개소, 지역아동센터 22개소, 어린이집 91개소, 기타시설 93개소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충청남도

충청남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2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논산시


[Daum백과] 논산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