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노안도

다른 표기 언어 蘆雁圖

요약 화조화 화제의 하나로 물가의 갈대를 배경으로 기러기를 그린 그림.

가을과 겨울의 정취를 나타내는 화제로 영모화를 잘 다루었던 화가들이 즐겨 그렸다. 물가의 갈대밭을 배경으로 기러기가 날고 있는 모습, 자고 있는 모습, 노니는 모습 등 여러 자태를 그리는 군안도 계열의 대경적 구성과 근경 위주의 소경적 구성이 있는데 후자가 더 일반적이다.

이 화제가 대두되기 시작한 것은 중국 육조시대였으나 그림의 형식은 북송대에 완성되었고, 남송대에 유행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중기부터 널리 보급되어 이에 관한 제화시문이 많이 남아 있으며, 동경 등의 문양으로도 사용되었다. 조선 중기와 말기에 크게 유행했는데 주로 수묵몰골풍으로 그려졌고, 말기에는 노안의 발음이 노안과 연관되어 노후의 평안을 염원하는 뜻으로 많이 그려졌으며 이러한 전통은 근대 화단으로 계승되었다.

대표적인 화가로는 조선 중기의 이징(李澄), 조선 말기의 장승업·양기훈·안중식·조석진(趙錫晉), 근대의 강필주·이용우(李用雨) 등을 꼽을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미술

미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노안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