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894. 12. 7, 미국 필라델피아 |
---|---|
사망 | 1964. 6. 24, 뉴욕 시 |
국적 | 미국 |
요약 미국의 추상화가.
도시 풍경의 화려한 경관을 독특한 입체파 양식으로 그린 그의 그림은 상업 및 광고미술을 차용한 1960년대 팝 아트의 등장을 예고했다.
그는 미술이 일상생활의 한 부분을 차지하는 환경에서 자랐다. 그의 아버지는 필라델피아 신문의 그래픽 미술가이자 미술 편집자였으며 윌리엄 글래큰스, 조지 룩스, 존 슬론, 에버렛 신 등 나중에 미국 미술계에서 '애슈캔파'(Ashcan School)로 유명해진 사람들과 함께 일했다. 그의 부모는 그가 미술에 관심을 갖도록 고무했다.
16세 때 고등학교를 중퇴하고 뉴욕으로 간 데이비스는 '8인회'(The Eight:나중에 애시캔파에 흡수됨)를 이끌었던 로버트 헨리에게 미술을 배웠는데, 그는 도시의 일상생활에서 그림의 주제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1913년 그는 유명한 '아모리쇼'(Armory Show)에 수채화 5점을 출품할 정도의 실력을 보였다(→ 아모리쇼). 이 전시회는 미국에서 최초로 열린 대규모 유럽 전위미술전으로서 그의 일생에 일대 전환점이 되었다. 그뒤 몇 년 동안 그는 구도상의 질서와 비모방적인 색채, 새로운 유럽 회화의 특징인 평면적인 회화공간을 얻어내기 위해 노력했다. 콜라주(종이조각과 기타 물체들을 그림 표면에 붙여서 작품을 만드는 당시의 새로운 회화 기법)를 실험하고, 〈럭키 스트라이크 Lucky Strike〉(1921, 뉴욕 현대미술관)처럼 가끔 자신이 만든 콜라주를 그림으로 그리는 변칙적인 방법을 쓰기도 하면서 결국 3차원적 착시효과를 완전히 제거해버린 양식에 도달하는데, 이 양식은 1927~30년에 그린 연작 〈달걀 교반기 Egg Beater〉에서 절정을 이루었다.
1928년 그는 프랑스에 1년 동안 머물면서 파리의 거리풍경을 비교적 사실주의적으로 그렸다. 미국으로 돌아온 뒤 1930년대 대공황 기간중 기하학적인 색면들을 율동적으로 교차시킨 것과, 선원근법으로 물체의 윤곽을 뚜렷이 그린 것 사이의 대조를 기초로 하는 새로운 양식을 개발했다.
1940년대 중반 이후 그는 〈멜로 패드 The Mellow Pad〉(1945~51, 밀턴 로웬탈 부부 소장)·〈작고도 거대한 정물 Little Giant Still Life〉(1950, 리치먼드 버지니아 미술관) 등 많은 주요작품들을 제작했다. 세심하게 계획해서 만든 이 작품들은 당시 지배적이었던 추상표현주의와는 전혀 다른 재치와 발랄함을 지녔다. 그는 택시, 연쇄점의 정면, 네온 사인 등에서 많은 영감을 얻었다.
조화되지 않은 색채와 생동감있고 반복되는 율동은 그가 좋아했던 재즈 음악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었다. 〈콜로니얼 큐비즘 Colonial Cubism〉은 후기의 대표작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화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