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다른 표기 언어

요약 덕은 중국 최초의 자전인 〈설문해자〉에 따르면 ‘밖에서 사람이 바람직하고 안에서 나에게 얻어진 것’이라 했다. 즉 덕은 인간이 스스로의 수양을 통해서 얻어지고 그것이 다시 실천을 통해 나타남을 말한다. 덕은 유학의 정치사상인 덕치주의와 예치주의를 설명하는 중요한 근거가 되고 있다.
유교사상은 인의 도덕과 그것의 정치적 실현을 말하는 덕치주의를 중요시한다. 맹자는 인간의 본성은 성인이나 스승이 인간에게 오륜을 가르침으로써 인간을 짐승과 구별되는 도덕적 세계로 나아가게 한다고 주장했다. 공자는 〈논어〉 위정편에서 "백성을 인도하는 데 덕으로써 하고 백성을 가지런히 하는 데 예를 가지고 한다면 백성은 부끄러움을 알게 되고 바로잡힐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 patpitchaya/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덕은 〈설문해자 說文解字〉에서 직과 심을 합친 덕조에 "밖에서 사람이 바람직하고 안에서 나에게 얻어진 것"이라 했다. 즉 덕은 인간이 스스로의 수양을 통해서 얻어지고 그것이 다시 실천을 통해 나타남을 말한다.

중국의 지적 전통에서 덕이라는 개념은 연원이 오래되었는데 특히 유교사상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덕은 유학의 정치사상인 덕치주의와 예치주의를 설명하는 중요한 근거가 되고 있다. 유교사상은 인의 도덕과 그것의 정치적 실현을 말하는 덕치주의를 중요시한다.

맹자는 인간의 본성은 성인이나 스승이 인간에게 오륜을 가르침으로써 인간을 짐승과 구별되는 도덕적 세계로 나아가게 한다고 주장했다. 여기에서 성인이나 스승은 지배층으로 나타나고 지배층은 스스로의 수양을 통해 인격적으로 완성된 인간형이 되어야 했다. 인간적으로 완성을 이룬 성인은 자신의 수양과 수기를 바탕으로 짐승과 같은 자연상태의 피지배층 다수를 가르치고 교화시켜야 하는 임무를 떠맡게 된다. 이때 지배층이 대다수 인민을 교화시키는 방법은 형벌이나 제도로써 하는 것이 아니고 덕과 예로써 했다.

공자는 "백성을 인도하는 데 정치나 제도로써 하고 백성을 가지런히 하는 데 형벌로써 한다면 백성은 모면하려고만 하지 부끄러움을 모른다. 백성을 인도하는 데 덕으로써 하고 백성을 가지런히 하는 데 예를 가지고 한다면 백성은 부끄러움을 알게 되고 바로잡힐 수 있을 것이다"(〈논어〉 위정편)라고 말했다. 이러한 덕치주의의 정치적 성격은 유교가 국가의 이데올로기로 성립된 한대(漢代) 이후 더욱 분명해진다.

한대에는 동중서의 천인상관설에서 보여주듯이, 재이는 단순히 자연현상의 결과가 아니고 군주의 실정에 따른 하늘의 견책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므로 군주는 이러한 재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덕을 닦지 않으면 안 되었다. 군주는 덕을 닦아 하늘을 감동시키고 현실정치를 올바르게 실행해야만 했다. 송대 성리학이 성립되면서 공자·맹자의 가르침을 학문적으로 더욱 철저히 하게 되고 덕치주의의 정치론도 더욱 다듬어졌다. 즉 성리학이 오경보다 사서를 중시하면서 대학이나 중용의 명덕·성·천도 등의 개념을 철학적으로 보강함으로써 덕치주의 정치론의 논리는 더욱 강화되었다.

중국 도가에서는 덕을 도(道)의 잠재력 또는 만물의 근원이 되는 초월적 실재로 설명한다. 반면에 유가에서는 덕을 내적인 선, 즉 올바른 행동으로 보았다. 덕을 이같이 정의함으로써 정치적·사회적으로 혼란한 시대에 가치관을 세우고자 했다.

덕은 도의 작용으로서 모든 사물에서 나타난다. 씨앗이 저절로 나무로 자라는 것과 같이 사물을 변화시키는 잠재된 힘이 바로 덕이다. 따라서 덕은 눈에 보이지 않는 도가 드러난 것이다. 도가의 경전인 〈도덕경〉에서 인간의 신체가 무의식적으로 제 구실을 다하는 것이 덕으로 묘사되어 있다. 누구든 이 내부의 작용에 맞추면, 어떤 경우에도 저항할 수 없는 자연의 힘과 조화를 이루며 살게 된다. 우리가 무위자연의 삶을 위해 욕심이나 경쟁심을 버리면, 최고의 덕을 이루게 된다. 현덕은 밖으로는 만물을 자신에게 귀복하게 만들고, 안으로 우주의 원리(道)를 체득하게 만든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동양철학

동양철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