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댕기

다른 표기 언어

요약 머리를 장식하기 위해 머리 끝에 드리우는 장식용 헝겊.

고려시대에도 남녀가 모두 댕기를 사용했고, 조선시대에도 계속 사용했으나, 갑오개혁 이후 단발령이 내린 뒤 차차 없어졌다. 남자들도 장가를 들지 못한 사람은 상투를 할 수 없었고, 긴머리를 하고 다녔기 때문에 댕기가 필요했다.

댕기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① 앞줄댕기:혼례시 큰댕기와 짝을 이루어 양쪽 어깨 위에서 앞으로 늘이는 댕기이다. 큰 비녀 양쪽 여유분에 적당한 길이로 맞추어 감아 양어깨 위에 드리운다. 진주 또는 산호수 장식을 했다.

② 제비부리댕기:미혼자의 땋은 머리에 드리우던 댕기이다. 처녀들은 빨강, 총각은 검정을 사용했다.

③ 고이댕기:서북지방에서 혼례 때 사용하던 2가닥 댕기이다. 댕기의 길이가 다른 댕기에 비해 상당히 길며 모란꽃과 십장생무늬를 수놓고 끝부분을 둥글게 말아 능형 문양을 화려하게 수놓은 특색있는 댕기이다.

④ 쪽댕기:쪽진머리를 곱게 하기 위해 사용하던 댕기이다. 젊은 사람은 빨강, 나이든 사람은 자주, 과부는 검정, 상제는 흰색을 사용했다. 얹은머리 할 때의 자적댕기나 궁중에서 큰머리·어여머리 할 때 잡아매는 댕기이다.

⑤ 매개댕기:자줏빛 명주에 솜을 넣어 길고 통통한 끈처럼 만들어 사용했다.

도투락댕기:궁중이나 양반 층에서 신부가 예장할 때 사용하던 댕기이다. 짙은자줏빛 비단이나 사(紗)로 만들어 뒤에 길게 늘이기 때문에 뒷댕기 또는 주렴이라고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헤어/스타일링

헤어/스타일링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댕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