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대화

다른 표기 언어 dialogue , 對話

요약 넓은 의미로는 희곡이나 소설에서 2명 이상이 주고받는 말.

대화(dialogue)

ⓒ Dean Drobot/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문학형태로는 서로 대립하는 철학적·지적 입장을 대담 형식을 빌려 신중하고 조직적으로 설명해가는 것을 대화라고 부른다. 지금까지 알려진 대화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BC 5세기초 시라쿠사의 소프론이 운율있는 산문으로 쓴 시칠리아 무언극들이다. 이 무언극들은 오늘날 1편도 남아 있지 않지만, 플라톤은 이들을 알고 있었고 훌륭하다고 생각했다.

플라톤이 BC 400년까지 완성한 철학적 대화 형식은 독립된 문학적 창조물이 되기에 충분할 만큼 독창적이었다. 플라톤의 대화는 토론이 벌어지는 극적인 상황 및 성격 묘사에 충분한 관심을 기울여, 플라톤 철학의 주요신조들을 변증법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2세기의 그리스 풍자작가 루키아누스는 대화에 새로운 말투와 기능을 부여했다. 냉정하고 풍자적 말투로 쓴 그의 〈죽은 자들의 대화 Dialogues of the Dead〉는 후세에까지 영향을 미쳐, 17세기와 18세기의 프랑스와 영국에서는 이를 모방한 작품이 수없이 나오게 되었다. 프랑스의 작가 베르나르 드 퐁트넬의 대화(1683)와 프랑수아 페늘롱의 대화(1700~12)는 그 대표적인 본보기다. 르네상스 시대에 플라톤에 대한 관심이 되살아나면서, 수많은 작가들이 플라톤의 대화를 모방하거나 응용하게 되었다. 스페인에서는 후안 데 발데스가 이 형식을 이용하여 애국심과 인문주의의 문제를(1533), 빈센소 카르두치는 미술론을 논의했다(1633). 이탈리아에서는 토르콰토 타소(1580)와 조르다노 브루노(1584) 및 갈레오(1632)가 플라톤을 본떠 대화를 썼다. 르네상스 시대 사람들은 플라톤이나 루키아누스가 생각지도 못한 분야, 예컨대 언어를 가르치는 데에도 대화 형식을 응용했다.

16~17세기에는 종교·정치·경제 분야에서 논란이 있는 이념들을 제시할 때에도 대화 형식을 쉽게, 그리고 자주 응용하였다. 조지 버클리의 〈하일러스와 필로너스의 3가지 대화 Three Dialogues Between Hylas and Philonous〉(1713)는 아마 영국에서 가장 훌륭한 플라톤의 모방작일 것이다. 19세기에 이 형식을 채택한 것으로서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단테와 베아트리체 등 역사적 인물들을 섬세하게 재창조한 월터 새비지 랜더의 〈상상 속의 대화 Imaginary Conversations〉(1824~29)이다.

대화에 참여한 가상 인물들의 심리를 파헤치는 앙드레 지드의 〈가상 회견록 Interviews imaginaires〉(1943)과 조지 산타야나가 쓴 〈천국과 지옥 사이에서 나눈 대화 Dialogues in Limbo〉(1925)는 이 고대의 문학 형식이 20세기에도 살아남아 있음을 보여준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문학

문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대화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