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대이주

다른 표기 언어 Groot Trek , 大移住

요약 1835년에서 1840년대초에 영국 정부의 정책에 반대하는 약 1만 2,000~1만 4,000명에 이르는 보어인들이 새로운 방목지를 찾아 남아프리카의 케이프 식민지에서 이주한 사건.
(영). Great Trek.

대이주(Groot Trek)

ⓒ Discott/wikipedia | CC BY-SA 4.0

보어인들은 이것을 그들의 19세기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다루며 그들 국가의 기원으로 여긴다.

이주를 함으로써 보어인들은 동쪽 진출을 방해했던 코사족을 앞질러, 이전 10년 동안의 부족전쟁을 통해 길이 열린 나탈 지방과 하이펠트 고원으로 침투해 들어갔고, 백인 정착지를 북쪽 림포포 강까지 확장할 수 있었다. 보르트레커(Voortrekker:아프리카어로 개척자라는 뜻)라 부르던 이들 보어인들은 친척이나 이웃들끼리 무리를 지어 비슷한 수의 흑인 하인들을 데리고 뛰어난 지도자들의 지휘 아래 이동해갔다(→ 보르트레커).

처음에는 모두 오렌지 강을 건넜지만 곧 나탈의 바다 쪽으로 가려는 무리와 하이펠트 고원에 남으려는 무리로 나뉘었다. 어느 쪽에서든 처음에는 어려움을 겪었지만 말·권총·방어야영지 등을 능숙하게 이용해 강력한 아프리카 군사 왕국들을 물리쳤다. 그러나 나중에는 아프리카인들을 통제하고 안정되게 지배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나탈로 간 사람들은 공화국을 세웠으나 공화국이 1843년 영국에 합병당하자 대부분 드라켄즈버그 산맥을 넘어가 그들의 동포들과 다시 결합했다. 영국 정부는 잠시 이들을 추격하다가 그만두었으며 트란스발과 트란소란지아 지역으로 이주한 보어인들에게 1852년과 1854년에 각각 독립을 인정해주었다.

트란스발에서는 소규모 정치조직체들이 생겨나 서로 다투었고 이러한 파벌 싸움은 1860년대까지 계속되었다. 트란소란지아로 간 이주민들은 오렌지 자유주(Orange Free State)를 세웠으며 바수토족을 비롯한 이웃 세력에게 위협을 받아오다가 1854년 영국이 철수하자 확고하게 하나의 국가로 자리잡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대이주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