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태안사

다른 표기 언어 泰安寺

요약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원달리에 있는 신라시대 절.

대안사라고도 한다. 839년(신무왕 1) 적인선사 혜철이 선풍을 크게 일으키면서 구산선문의 도량으로 이름이 났다. 신라 말기에 2대 조사인 광자대사가 불도를 펴다가 945년 입적했다. 대웅전은 앞면 3칸, 옆면 3칸의 다포계 팔작집으로 6·25전쟁 때 불탄 것을 1969년 중수했다. 경내에는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가 남아 있다.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950년 조성. 보물 제275호. 귀부 길이 197㎝, 너비 182㎝, 이수 높이 56㎝. 비신은 임진왜란 때 파괴되어 결실된 잔편이 귀부와 이수 사이에 놓여 있으나 마멸이 심하여 판독이 어려운 상태이다. 다만 〈해동금석원 海東金石苑〉에 실린 전문을 통해서 윤다는 대사의 법휘이고 법신은 자이며, 광자는 시호라는 것과 비문 끝에 있는 '光德二年歲次庚戌十月十日鐫字'를 통해서 950년(광종 1)이라는 조성시기도 알 수 있다.

비문의 내용은 손소가 지었으며 쓴 사람은 모른다. 정간을 치고 쓴 글씨는 전반적으로 왕희지의 행서에 근간을 두고 있으며 필력이 건경하여 통일신라시대에 비하여 서예가 비약적인 발전을 했음을 보여준다. 귀부는 목이 짧아지고 앞면이 사실적으로 구성되었으며, 이수의 네 모서리에는 반룡을, 제액 상부 중심에는 가릉빈가를 조각했다.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

태안사광자대사탑

태안사광자대사탑(고려), 보물 제274호, 전남 곡성군 죽곡면 원달리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보물 제274호. 높이 280㎝. 전형적인 팔각원당형으로 완벽한 형태미를 간직하고 있다. 여러 단의 굄대가 있는 지대석은 기단부의 팔각과 서로 엇갈리며 하대석을 받고 있다. 하대석의 하단에는 2단의 각형 굄대가 모각되어 있고 각 면에는 당초무늬가 선각되어 있다. 좁아진 중대의 각 면에는 안상이 2구씩 조각되어 있고 갑석형의 상단 윗면에는 복판16엽의 복련을 둘렀고, 중대석을 받는 3단의 굄대를 두었다. 중대석은 매우 낮은 편이며 각 면에 안상이 1구씩 있고, 상대석에는 단판16엽의 앙련을 상하로 조각했으며 윗면에는 난간을 흉내낸 듯한 2단의 낮은 굄대를 각출시켜 탑신석을 받고 있다.

탑신은 팔각으로 앞뒷면에 문비형을 배치하고 좌우에는 사천왕입상을, 양면에는 향로를 조각했다. 목조건축양식을 충실하게 모방한 옥개석은 낙수면에 기왓골을, 추녀에는 암막새와 수막새까지 모각했다. 상륜부는 각 부재에 장식이 있는 노반·앙화·복발·보륜·보개·보주 등이 차례로 놓여 있다. 조화있는 구성과 정교한 조각수법은 적인선사조륜청정탑의 형식을 모방한 것으로 추측된다. 함께 세운 탑비는 귀부와 이수만 남아 있다. 조성연대는 탑비가 세워진 950년경으로 추정된다.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보물 제273호. 높이 310㎝. 팔각원당형의 세련된 모습이다. 각기 다른 돌로 이루어진 팔각의 기단부는 하대석 밑에 1단의 굄대를 조각하고, 옆에는 가늘고 긴 안상을 2구씩 음각했다. 또 하대석은 옆에서 보면 사다리꼴로 각 면에 움직이고 있는 사자 모습을 조각했으며 위에는 중대석을 받는 팔각의 굄대가 있다. 높이가 매우 낮은 중대석은 각 면마다 조식이 있는 가늘고 긴 안상을 1구씩 조각했다.

상대석에는 단판연화를 3중으로 조각했으며, 아래 위에 각형 굄대와 받침을 3단씩 각출했다. 상대석 위에는 각 면에 가늘고 긴 안상을 2구씩 장식한 같은 돌의 탑신 굄대가 있다. 탑신은 낮으나 기품이 있으며, 앞뒤로 문짝형태를 모각하고 좌우에는 사천왕상을 조각했다. 넓은 옥개석은 밑에 서까래를 2중으로 조각하고, 낙수면에는 팔각의 합각에 굵은 우동과 사이에 기왓골을 표현하는 등 목조건축양식을 모방했다.

추녀에 조각한 막새기와는 매우 사실적이며, 2단의 각형 굄대 위에 있는 상륜부는 앙화·복발·보륜·보주 등으로 이루어졌다. 신라 말기의 우수한 작품으로 사실적인 조각과 우아한 품위로 높이 평가된다. 탑비의 기록으로 보아 조성연대는 선사가 입적한 861년(경문왕 1) 이듬해 무렵일 것으로 추측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신라

신라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태안사적인선사조륜청정탑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태안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