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문선왕인 공자와 함께 배향되는 제자들을 대성전에 모시는 순서대로 그린 그림.
작자 미상. 1513년 작. 보물 제485호.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170㎝, 가로 65㎝. 조선시대에는 서원에서도 공자를 모셨으므로 공자의 초상화나 전좌도가 많이 그려졌다.
소수서원에는 이 그림 이외에 또다른 전좌도 한 폭이 전하는데 고려 충렬왕 때 안향(安珦:1243~1306)이 원나라에서 가져온 것이라고 한다.
화면 상단에는 표제가 씌어진 붉은 편액과 화기가 씌어진 감색 판액이 걸리고, 대성전 내부임을시사하는 목조가구와 장막을 그려넣었다. 정면상의 공자 좌우에는 성현으로 추대된 4성공과 12철인(그중 10명만 그려짐)이 배치되고, 단 아래에는 72현인과 10명의 제자가 소실점을 따라 좁아지는 좌우대칭의 삼각형 구도로 배치되었다. 중앙을 향한 칠분면으로 의자에 앉아 있는 일률적인 형태의 인물 위에는 각각의 이름이 붉은 바탕에 금자로 씌어 있다.
중요도에 따라 크기를 달리한 삼각형에 가까운 인물표현은 고식인물화 형식을 유지하고 있으며, 부감법을 사용한 바닥표현이나 도상에 치중한 나머지 경직된 필치는 기록화에서 흔히 보이는 양상이다. 소수서원에 소장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대성지성문선왕전좌도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