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심장의 왼쪽 아래에 있는 방(심실)과 체순환의 주요동맥인 대동맥 사이의 통로가 좁아지는 질병.
이 결함은 흔히 대동맥 입구에 있는 판에 생기지만 판의 바로 위나 아래(각각 판상부협착, 대동맥판하부협착)에 생길 수도 있다. 대동맥판협착증이 20세 이하의 사람들에게 생기면 대개 원인이 선천적인 것이며, 중년에 나타나면 대부분 류머트 심장병의 결과이다.
노인들에게 나타나는 대동맥판협착증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대동맥판이 변성되어 생기는 것일 수도 있다. 환자는 대부분 남자이다. 대동맥판협착증은 청진기로 들을 수 있는 특징적인 심음을 낸다. 환자들은 과로하면 실신하기도 하고, 협심증에서 나타나는 가슴의 통증을 느끼기도 한다. 대동맥판협착증은 울혈성심부전(심장이 박동기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을 초래할 수도 있다.
치료는 협심증과 심부전에 초점을 맞추고, 심장의 막에 세균이 침입(심내막염)하는 것을 막아주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외과적 치료로는 대동맥판을 교정하거나 이를 합성대체물 또는 이식조직으로 대체하는 것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