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당근

다른 표기 언어 carrot , 胡蘿蔔 동의어 호나복
요약 테이블
분류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산형화목 > 미나리과 > 당근속
원산지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서식지 깊고 기름지며 조밀하지 않은 토양
크기 약 1m
학명 Daucus carota var. sativa
꽃말 죽음도 아깝지 않으리

요약 원뿌리를 먹을 수 있다. 뿌리는 둥근 모양에서 긴 것까지 다양하며 색깔도 오렌지색·하얀색·노란색·자주색 등으로 여러 가지다.
아프가니스탄과 그 근처 지역이 원산지이며 지중해 지역에서는 예수가 태어나기 전, 중국과 유럽 북서부에서는 13세기경에 심었으며 지금은 온대지방에 걸쳐 널리 자라고 있다. 20세기 들어 카로틴의 중요성이 알려지면서 당근을 많이 찾게 되었다. 이 식물은 춥거나 온화한 기온을 좋아해 여름철에는 더운 지방에서 자라지 못한다.
날 당근은 껍질이 부드럽고 매끄럽지만 속은 단단하고 파삭파삭하다. 당근의 밝은 오렌지색은 카로틴 함량이 많다는 것을 알려주는데 크기가 좀 더 작은 종류들은 대개 연한 빛깔을 띤다. 샐러드에 넣어 먹거나 채소 요리나 스튜와 스프에 쓴다.

당근

당근, 전라남도 보성군 복내면 오일장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원뿌리를 먹을 수 있다. 뿌리는 둥근 모양에서 긴 것까지 다양하며 맨 끝이 무디거나 길고 뾰족한 것까지 여러 변종들이 있다. 색깔도 오렌지색·하얀색·노란색·자주색 등으로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다.

아프가니스탄과 그 근처 지역이 원산지이며 야생당근은 유럽·미국 및 다른 온대지방에 잡초로 퍼지게 되었다. 지중해 지역에서는 예수가 태어나기 전, 중국과 유럽 북서부에서는 13세기경에 심었으며 지금은 온대지방에 걸쳐 널리 자라고 있다. 20세기 들어 카로틴(carotene)의 중요성이 알려지면서 당근을 많이 찾게 되었다.

이 식물은 춥거나 온화한 기온을 좋아해 여름철에는 더운 지방에서 자라지 못한다. 깊고 기름지며 조밀하지 않은 토양에서 잘 자란다. 요즈음에는 식물이 제대로 자랄 수 있는 공간을 주기 위해 솎는 대신 줄을 지어 기계로 드문드문 씨를 뿌린다. 씨를 뿌린 첫해에 나오는 잎은 보통 겹잎으로 잘게 갈라지고 곧추서는 로제트를 이루며, 그 아래에 식용 당근과 원뿌리가 달려 있다.

빙점 근처의 기온에서 휴면기를 거친 뒤 가지를 친 긴 꽃자루가 나온다. 가장 긴 꽃자루와 여기에서 갈라진 작은 꽃자루 끝에는 하얀색 또는 자주색을 띠는 작은 꽃이 달려 커다란 산형(傘形)꽃차례를 이룬다. 씨는 분열과로 작고 가시가 달렸으며 둘로 갈라지는데 각각에 씨가 1개씩 들어 있다. 재배용으로 파는 씨는 가시를 없앤 것들이다. 날 당근은 껍질이 부드럽고 매끄럽지만 속은 단단하고 파삭파삭하다. 당근의 밝은 오렌지색은 카로틴 함량이 많다는 것을 알려주는데 크기가 좀더 작은 종류들은 대개 연한 빛깔을 띤다. 샐러드에 넣어 먹거나 채소 요리나 스튜와 스프에 쓴다.

한국에서는 언제부터 심기 시작했는지 확실하지 않은데, 최근에 들어 심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중국에는 원나라 때 서쪽에서 들어왔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호나복(胡蘿蔔)이라고 부른다. 일본에는 중국을 거쳐 들어간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당근이 일본의 기후에 알맞아 많은 품종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5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당근

속씨식물 종류

추천항목


[Daum백과] 당근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