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사회·정치사상에서 종교단체·노동조합·전문직업조직·소수민족 등 한 사회안의 서로 다른 집단들이 누리는 자율성을 가리키는 용어.
또 이 용어는 그러한 집단들이 자율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유익하고 서구 자유주의 국가와 공산주의 국가 모두의 이데올로기에 중요한 요소라는 주장을 가리키기도 한다.
영국에서는 20세기초 F. 메이틀런드, S. G. 홉슨, 헤럴드 라스키, R.H. 토니, G.D.H. 콜 등의 작가가 방만한 자본주의라는 조건 때문에 일어나는 개인의 소외에 반발하면서 다원론을 강력하게 주장했다는 것이다.
그들에 따르면 개인에게 공동체 의식을 심어 줄 수 있는 사회적 맥락 속으로 개인을 통합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의 역사적 예는 길드·자치 도시·촌락·수도원·대학 등으로 이루어진 중세사회 구조이다. 다원론자들은 현대산업사회의 몇 가지 부정적 측면을 경제와 행정의 탈중앙집중화로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태그 더 보기
사회
사회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