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815. 10. 30, 미국 뉴욕 뉴버그 |
---|---|
사망 | 1852. 7. 28, 뉴욕 용커스 근처 |
국적 | 미국 |
요약 미국의 원예가·조경정원사·건축가.
근래에 건설된 교외도시와 큰 도시공원에는 아직 그의 영향이 남아 있다. 다우닝의 아버지는 묘목업자였으므로 그는 태어나면서부터 원예술과 인연을 맺었다. 16세에 학교를 마치고 아버지의 종묘원에서 일했으나 조경과 건축에 더 흥미를 갖게 되었다.
그는 〈조경정원론 A Treatise 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Landscape Gardening, Adapted to North America〉(1841)·〈전원별장 Cottage Residences〉(1842)·〈전원주택건축 The Architecture of Country Houses, Including Designs for Cottages, Farm Houses, and Villas〉(1850) 같은 대중적인 책을 통하여 자신이 경멸하던 신고전주의 양식에서 벗어나 낭만적 고딕 복고양식을 채택할 것을 주장했다.
그는 인위적인 것을 버리고 소박하고 자연스러운 새 방법으로 건축재료를 사용할 것과 주거와 그 환경 간의 새로운 관계를 주장했다. 그후 얼마 안 되어 박공지붕이 있는 별장과 '자연스러운' 조경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리아식 대지조성 방법이 미국에 널리 퍼졌다. 그가 설계한 교외정원 루엘린 파크(Llewellyn Park:뉴저지 웨스트오렌지)는 낭만적인 이름의 구불구불한 길이 있는 근대식 교외정원의 표본이 되었다. 그가 조경에 쏟은 관심은 센트럴 파크 계획(뉴욕 시)에 가장 잘 나타나 있다.
1850년 영국의 건축가 칼버트 보크스를 동업자로 불러들였고 이듬해 필모어 대통령에게서 워싱턴 D. C. 산책로 수정 설계를 부탁받았다. 그러나 다우닝이 증기선 사고로 죽어 이 계획안은 거의 대부분 백지화되었다. 센트럴 파크는 1858~78년에 보크스와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가 완성했다. 루엘린 파크는 다우닝의 책에 삽화를 그렸고 그와 함께 고딕 복고운동을 이끌었던 건축가이자 화가인 알렉산더 잭슨 데이비스가 완성했다(1852~69).
보크스와 옴스테트는 1868년의 공원과 교외계획(일리노이 리버사이드)에 다우닝의 생각을 반영했고 그밖에도 다우닝의 많은 이론들을(예를 들어 주거와 대지 관계의 중요성 등) 20세기에 전해서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를 비롯한 여러 사람에게 영향을 주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화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