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다식

다른 표기 언어 茶食

요약 밤, 대추, 송화, 쌀, 깨 등의 가루를 꿀과 엿 등으로 반죽하여 다식판에 찍어낸 한국 고유의 음식. 달고 고소한 맛이 특징이다. 만들 때는 다식판에 반죽을 올려 놓고 여러 무늬가 새겨진 윗판을 덮어 찍어내어 완성한다. 집집마다 가진 다식판이 다양하여 무늬도 여러 가지이고, 재료에 따라 그 종류가 나뉜다.

다식(茶食)

ⓒ 클립아트코리아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클립아트코리아에 있으며,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요

한국 전통음식의 하나. 차와 함께 먹는 한과의 한 종류로, 맛이 달고 고소하며 향기로운 것이 특징이다. 차에 곁들여 먹는 음식이라는 뜻에서 ‘다식’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아이들의 간식으로도 좋으며 단 음식이 귀한 시절에 별미로 먹었다. 다식의 모양은 여러 가지 전통 문양이 새겨져 있는 다식판으로 만든다.

유래

정확한 기원은 알 수 없지만 고려시대 이색의 <목은집>에서 다식의 맛에 관한 기록을 찾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고려시대 연회에서 다식을 먹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다식의 원형을 찻잎을 지금의 다식 형태로 다져서 쪄낸 다병(茶餠)으로 보기도 하는데, 점차 찻잎 대신 곡식이나 견과류의 가루를 꿀이나 엿으로 개어 다병 모양으로 만들어 차와 함께 먹도록 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제례나 혼례와 같은 잔치에 꼭 마련해야 하는 식품이 되었다.

종류

다식은 어떤 재료로 만드는가에 따라 밤, 찹쌀, 참깨, 검은깨, 콩, 송화, 팥 다식 등으로 나뉜다. 밤 다식은 맛이 구수하면서 단 것이 특징이며 밤, 꿀, 엿으로 만들고, 찹쌀 다식은 찹쌀을 쪄서 볶은 다음 가루를 내어 엿물에 버무려 만든 다식으로 찹쌀, 엿, 사탕가루, 꿀, 기름을 쓴다. 송화 다식은 노란 송화가루를 미리 채집해 두었다가 엿물에 섞어서 만든 다식으로 싱그러운 솔잎 향기가 풍기며, 노란색으로 보기에도 먹음직스럽고 설사를 멎게 하는 데도 효과가 있다. 팥 다식은 껍질을 벗긴 팥을 삶은 다음 다시 볶아서 보슬보슬하게 하여 엿물에 섞어 만든 다식이다.

재료

각종 곡식 가루, 송홧가루, 견과류의 가루 등을 원료로 쓰며, 응고제로 꿀이나 엿 등이 필요하다.

조리법

다식은 판 위에 곡물 가루와 꿀 등을 버무려 오방색으로 물들인 재료를 올려 놓고 꽃, 물고기, 격자 무늬 등 여러 가지 아름다운 전통문양이 새겨진 윗판을 덮어서 찍어낸다. 이때 과거에는 집집마다 나무로 만든 다식판이 있어 각자 다양한 무늬로 다식을 찍어냈다. 완성된 다식은 차와 같이 즐기면 잘 어울린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음식

음식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3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다식 만들기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다식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