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자동화된 검사장치와 컴퓨터를 이용하여 건강상의 문제를 찾아내는 방법(→ 건강진단).
자료를 분석하고 종합하여 개인의 전체적인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다음에 해야 할 진단과 치료계획을 세운다. 1950년경부터 새로운 검사장치가 개발되어서 점점 더 많은 종류의 임상검사와 시험과정을 표준화하고 자동화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자동분석기는 혈액표본 하나에서 여러 가지 화학검사를 동시에 할 수 있고, 또 적은 인력으로 짧은 시간에 많은 혈액표본을 검사할 수 있게 했다.
최근에는 자동화된 검사장치를 자동정보처리장치에 연결시켜서 최소한의 의학교육을 받은 사람도 많은 양의 의학 지식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의사에게 주어지는 최종진단에 필요한 자료가 종이 한 장에 요약될 수 있게 되었다.
전형적인 자료에는 병력, 시력, 청력, 폐기능 검사, 안압(眼壓), 혈압, 체중, 각종 신체치수, 가슴의 X선 사진 및 심전도(心電圖) 검사, 자궁암 검사, 갑상선 검사, 혈액 및 소변 검사, 혈중 포도당과 콜레스테롤 농도 등이 들어 있다. 망막 사진과 인체에 대한 각종 측정치를 포함하고 있는 다상건강선별검사도 있다. 이런 기초 진단과정 후에 특정한 질병을 찾아내기 위해 보다 정밀한 진단과정을 더 거치기도 한다.
다상건강선별검사는 특정한 질병을 진단하는 데 드는 비용을 낮추고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일어나는 심장마비와 같은 병에 걸릴 위험이 높은 사람을 가려내기 위해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한 선별검사에도 유용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건강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