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770년 5월 10일, 프랑스 아누 |
---|---|
사망 | 1823년 6월 1일, 파리 |
국적 | 프랑스 |
요약
프랑스의 장군.
Duc d'Auerstedt, Prince d'Eckmhl이라고도 함.
나폴레옹의 야전(野戰) 사령관으로 활약했다. 귀족 출신으로 '앙시앵 레짐'(구체제) 아래서 최고의 군사훈련을 받았으나 프랑스 혁명이 일어나자 자신의 부대를 이끌고 혁명지지 반란을 일으켰다(1790). 1792~93년 벨기에 원정 때 큰 공을 세웠으며 샤를 뒤무리에 장군의 반역행위를 막아 이름을 떨쳤다(1793. 4). 준장으로 진급했으나 1793년 7월 귀족들을 프랑스군에서 몰아내는 법령에 따라 사임해야 했다. 그러나 반 귀족주의를 고집하던 자코뱅당이 세력을 잃자 다시 군대로 불려갔고 나폴레옹을 따라 이집트 원정(1798~99)에 참여한 뒤 사단장으로 진급했다. 1801년에는 폴린 보나파르트(나폴레옹의 누이)의 시누이인 루이즈 이메 르 클레르와 결혼했다.
정예부대인 제3군단의 사령관으로 임명된 그는 자신의 재능을 발휘해 아우스터리츠(1805)·아우어슈테트(1806)·예나(1806)·아일라우(1807)를 비롯해 에크뮐(1809)·바그람(1809)에서 벌어진 전투를 승리로 장식하는 데 눈부신 활약을 했다. 1808년 나폴레옹에게서 공작작위를 받았고 이듬해에는 에크뮐 공(公)이 되었다. 다부는 실패로 끝난 러시아 원정(1812~13)에서도 훌륭하게 책임을 다했고 그뒤에 함부르크를 되찾기도 했다. 1814년 나폴레옹이 몰락하자 군에서 물러났으나 백일천하 때 육군장관이 되어 다시 제정(帝政) 프랑스를 위해 일했다. 워털루 전투에서 패한 뒤 다부는 파리 협약(1815. 7. 3)에 서명함으로써 승리한 동맹국들에게 파리를 개방했다. 그는 강화조약이 체결될 때까지 루아르 강 유역에 남아 있던 나머지 제국군대의 사령관으로 계속 일했다. 복고한 부르봉 왕가에 충성을 맹세하지 않고 버티다가 결국 1817년 8월 이를 받아들여 프랑스의 귀족으로 인정받는 한편 작위와 칭호를 유지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