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남인도 청동상

다른 표기 언어 South Indian bronze , 南印度靑銅像

요약 인도 시각예술의 최고걸작품에 속하는 힌두 신들의 신상 작품들.

이 신상들은 주로 오늘날의 타밀나두의 탄자부르와 티루치치라팔리 지역에서 8~16세기에 많이 제작되었으며, 거의 1,000년 동안 탁월한 솜씨와 높은 품격을 유지했다.

팔라바 왕조 시대의 금속조각은 비록 입체감은 충분히 살렸지만, 대체로 석공예의 기법을 그대로 따라 신상들이 거의 예외없이 정면을 향하고 팔들은 어느 쪽에서 보나 대칭을 이루고 있다. 촐라 시대 초기(10~11세기)의 신상들에는 보다 율동감이 살려져 춤출 때의 몸동작과 손동작이 곧잘 표현되었다. 이 시기의 신상들은 우아함과 감각적인 입체감, 균형잡힌 긴장감이 빼어나다.

비자야나가르 시대(1336~1565)에는 신체의 부드러운 리듬감은 억제되었지만 장식이 더욱 정교해졌으며 자세는 보다 굳어졌다(→ 촐라 왕조).

신상은 조그마한 가정용 신상에서부터 사원에서 의식에 쓰이는 등신상(等身像)까지 있다. 불교와 자이나교의 신상들도 약간 만들어졌지만 대부분 힌두 신들, 특히 시바 신과 비슈누 신이 그들의 배우자 및 시종들과 함께 여러 가지 의미를 담은 형태로 제작되었다. 또한 시바 신과 비슈누 신을 믿는 유랑시인(Alvar)의 조상(彫像) 중에도 뛰어난 작품이 많다.

신상들은 밀랍으로 만든 원형을 모래틀에 묻고 건조·가열하여 주형으로 만드는 납형법 즉 탈랍주형법으로 제작하는데, 조상이 주조된 뒤 마무리 조각을 한다.

결국 주형법과 조각 둘 다 사용하여 조상이 제작되는 것이다. 타밀나두의 탄자부르 예술품 전시박물관과 첸나이의 국립박물관에 남인도 청동상의 중요한 작품들이 소장되어 있다. 그러나 훌륭한 작품들 대부분은 남인도의 여러 사원에 소장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작품

작품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남인도 청동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