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1962년에 제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의 일환으로 홍수조절 외에 관개용수, 상수도용수 공급 및 발전을 포함하는 다목적 댐으로 건설되었다. 1970년 7월에 완공한 낙동강 수계 최초의 다목적 댐으로 길이 975m, 높이 21m, 부피 82만 5,000㎥의 중심코어형 필 댐이다. 댐마루와 만수위의 높이가 각각 42m와 39.5m로 2.5m의 여유고가 있다.
댐의 주요시설물은 계획홍수량을 조절·방류할 수 있는 여수로시설과 남강 수력발전소 및 인공방수로 등이 있다. 또한 발전소에는 유효낙차 15m로서 수차발전기 2대가 설치되어 있다.
댐에 의해 생긴 진양호는 만수면적 29.4㎢, 총저수용량 1억 3,630만㎥로 진주시를 비롯하여 경상남도 내 3개군 9개면에 걸쳐 있다. 주변일대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은 관광지로 활용된다.
낙동강의 지류인 남강을 가로질러 1970년 7월에 완공한 낙동강 수계 최초의 다목적 댐이다. 길이 975m, 높이 21m, 부피 82만 5,000㎥의 중심코어형 필 댐(fill dam)이다. 댐마루와 만수위의 높이가 각각 42m와 39.5m로 2.5m의 여유고가 있다.
댐의 주요시설물은 본 댐을 제외한 초당 1만 570㎥의 계획홍수량을 조절·방류할 수 있는 여수로시설과 발전용량 1만 2,600kW의 남강 수력발전소 및 11㎞에 이르는 인공방수로 등이 있다. 또한 발전소에는 유효낙차 15m로서 수차발전기 2대가 설치되어 있다. 최근 댐 규모를 확대해 홍수조절 효과를 높이기 위한 계획을 추진중이다.
1920~30년대에 실시된 낙동강 개수계획의 일환으로, 남강 홍수량을 사천만으로 방류하기 위한 홍수조절 목적으로 1939년에 시공하였으나, 중단되었다가 1949년에 재착공하여 댐코어를 시공하는 도중 다시 중단되었다. 그뒤 1962년에 제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의 일환으로 홍수조절 외에 관개용수, 상수도용수 공급 및 발전을 포함하는 다목적 댐으로 건설되었다. 본 댐의 건설로 남강 하류에 있는 농경지 500㎢에 홍수피해를 줄이며, 남강 하류와 낙동강 하류에 있는 농경지 98㎢에는 연간 6,000만㎥의 관개용수를 공급한다. 진주시와 삼천포시 일대에는 하루에 약 10만㎥씩 상수도용수를 공급하며, 경상남도 일대에 연간 4,300만kWh의 전력을 공급한다.
댐에 의해 생긴 진양호는 만수면적 29.4㎢, 총저수용량 1억 3,630만㎥로 진주시를 비롯하여 경상남도 내 3개군 9개면에 걸쳐 있다. 주변일대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은 관광지로 활용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경상남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