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김형원

다른 표기 언어 金炯元 동의어 석송, 石松
요약 테이블
출생 충남 논산, 1901. 11. 16
사망 미상
국적 한국

요약 시인.

한국시사에 있어서 신경향파 시를 처음으로 또 가장 많이 썼다.

호는 석송(石松). 보성고등보통학교를 중퇴하고, 1920년대에 〈동아일보〉·〈조선일보〉·〈매일신보〉 기자를 거쳐 〈동아일보〉 사회부장, 〈조선일보〉 편집국장을 지냈다. 1924년 '파스큘라'에 가담하면서 경향시를 발표하기 시작했다. 1925년 카프의 창립 발기인으로 활동했으며, 같은해 잡지 〈생장〉을 주재했다. 해방 뒤 공보처장을 지냈으며, 6·25전쟁 때 납북되어 생사를 알 수 없다.

1920년 〈개벽〉에 〈이향 離鄕〉을 발표하여 문단에 나왔다. 초기에는 미국의 민중시인 휘트먼(W. Whitman)에 심취하여 1921년 〈개벽〉의 창간 2주년 기념호에 휘트먼을 소개하였고, 그의 영향을 받은 대표작 〈아, 지금은 새벽 네 시〉(개벽, 1924. 11)를 발표했다. 주로 민주주의를 따르고 사회제도 및 역사의 구속 등에서 벗어나려는 의지를 노래했다.

그밖에 시 〈죽음의 미〉(개벽, 1921. 2)·〈무산자의 절규〉(개벽, 1921. 6)·〈햇빛 못 보는 사람들〉(개벽, 1922. 2)·〈숨쉬는 목내이〉(개벽, 1922. 3) 등을 발표했다.

박팔양은 평론 〈조선신시운동개관〉(조선일보, 1929. 2. 28~3. 1)에서 그의 시는 힘있고 굳센 특색이 있다고 하면서, 후일 신흥 계급운동이 일어나는 데 선구자적 역할을 했다고 했다.

당시 〈창조〉·〈폐허〉·〈장미촌〉 등에서 보이던 퇴폐적 낭만주의나 유미주의 문학과 달리 당대의 비참한 생활과 불평등하고 부조리하며 자유없는 현실을 거부하는 의식을 읊었다. 1979년 가족들이 시 124편을 모아 〈석송 김형원시집〉을 펴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작가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김형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