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김일손

다른 표기 언어 金馹孫 동의어 계운, 季雲, 탁영, 濯纓, 소미산인, 少微山人, 문민, 文愍
요약 테이블
출생 1464(세조 10)
사망 1498(연산군 4)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연산군이 즉위하고 사림파의 중앙진출이 활발했을 때 언론 활동의 중심 역할을 했으나 훈구파가 일으킨 무오사화 때 죽임을 당했다. 그는 주로 언관으로 있으면서 유자광·이극돈 등 훈구파 학자들의 부패와 비행을 앞장서서 비판했고, 춘추관 기사관으로 있을 때는 세조찬위의 부당성을 풍자하여 스승 김종직이 지은 〈조의제문〉을 사초에 실었다.
1486년(성종 17) 진사가 되고, 같은 해 식년문과에 합격하여 권지부정자에 올랐다. 1491년 사가독서를 하고 주서·부수찬·장령·정언·이조좌랑·헌납·이조정랑 등을 두루 지냈다

김일손

김일손의 글씨, 〈근묵〉에서,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소장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연산군이 즉위하고 사림파의 중앙진출이 활발했을 때 언론(言論) 활동의 중심 역할을 했으나 훈구파가 일으킨 무오사화 때 죽임을 당했다.

본관은 김해. 아버지는 집의를 지낸 맹이다.

자는 계운(季雲), 호는 탁영(濯纓)·소미산인(少微山人). 17세까지는 할아버지 극일(克一)에게서 〈소학〉·〈통감강목〉·사서(四書) 등을 배웠으며, 뒤에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 들어갔다. 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강혼 등과 사귀었다. 1486년(성종 17) 진사가 되고, 같은 해 식년문과에 합격하여 권지부정자(權知副正字)에 올랐다. 1491년 사가독서를 하고 주서(注書)·부수찬·장령·정언·이조좌랑·헌납·이조정랑 등을 두루 지냈다. 질정관(質正官)으로 있을 때 명에 가서 정유(鄭愈) 등의 학자와 교유하고, 정유가 지은 〈소학집설 小學集說〉을 가지고 귀국하여 우리나라에 전파했다.

그는 주로 언관(言官)으로 있으면서 유자광(柳子光)·이극돈(李克墩) 등 훈구파(勳舊派) 학자들의 부패와 비행을 앞장서서 비판했고, 춘추관 기사관으로 있을 때는 세조찬위(世祖纂位)의 부당성을 풍자하여 스승 김종직이 지은 〈조의제문〉을 사초에 실었다.

1498년(연산군 4) 유자광·이극돈 등 훈구파가 일으킨 무오사화 때 권오복·권경유(權景裕)·이목(李穆) 등 사림파 여러 인물들과 함께 처형당했다.

그의 언행 가운데 훈구파에서 문제로 삼았던 것은 소훈윤씨(昭訓尹氏)에게 지나치게 많은 전민(田民)과 가사를 내렸다고 세조의 실정을 비판했고, 〈조의제문〉을 사초에 싣고, 단종의 어머니인 현덕왕후(顯德王后)의 소릉(昭陵)을 복구할 것을 주장하고, 황보인(皇甫仁)·김종서(金宗瑞) 등을 절의를 지킨 인물로 평가하고, 숙의권씨(淑儀權氏)의 노비와 토지를 권람이 가로챘다고 비판한 것이었다. 이런 것들은 세조와 계유정난 공신인 훈구파를 간접적으로 부정하는 일이었다.

학풍

김일손은 김종직의 문하 중에서 김굉필·정여창 등과 같이 '수기'를 중시하는 계열보다는 사장을 중시하면서 '치인'을 지향하는 계열의 대표적 인물로 꼽힌다. 그의 현실 대응 자세는 매우 과감하고 진취적이었다. 중종반정 후에 신원되어 중종 때 홍문관직제학, 현종 때 도승지, 순조 때 이조판서가 추증되었다. 목천 도동서원, 청도 자계서원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탁영집〉과 〈회로당기 會老堂記〉·〈속두류록 續頭流錄〉 등 26편이 수록된 〈속동문선 續東文選〉이 있다. 시호는 문민이다.→ 무오사화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학자

학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김일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