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김기영

다른 표기 언어 金綺泳
요약 테이블
출생 1922. 10. 1, 서울
사망 1998. 2. 5, 서울
국적 한국

요약 영화감독.

평양고보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후 영화계에 진출하여 1953년 〈주검의 상자〉로 데뷔했다.

〈초설 初雪〉(1957)·〈10대의 반항〉(1958)·〈하녀〉(1960)·〈현해탄은 알고 있다〉(1961)·〈고려장〉(1963)·〈화녀〉(1970)·〈충녀〉(1972) 등을 발표했다.

한국영화계에서는 보기 드문 스타일리스트로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한 그는 신상옥·유현목과 함께 해방 이후 한국영화계의 3대 주자로 손꼽힌다.

초기 작품 〈10대의 반항〉은 오영진의 시나리오를 영화화한 것으로 6·25전쟁 이후 가난과 절망 속에서 심각하게 나타난 전후의 청소년 문제를 사실주의적으로 다룬 작품이다. 당시의 다른 영화들과 마찬가지로 휴머니즘적인 결말로 끝나는 상투성은 있지만 1950년대 한국영화의 대표작으로 남아 있다.

1960년대에 만들어진 〈하녀〉·〈고려장〉, 1970년대에 〈화녀〉·〈충녀〉 등의 연작들은 보통사람들의 무의식 속에 숨어 있는 욕망의 어두운 모습을 다루었다. 특히 〈화녀〉는 이러한 경향의 대표작으로서 치정살인사건을 통해 가정의 성윤리 문제를 집요하게 다룬 작품이다. 이러한 경향의 영화들은 자칫 멜로드라마로 오인되기도 하지만 김기영은 탁월한 심리묘사와 예리한 영상구성으로 심리극적 공포영화의 가능성에 도전했다.

1975년 〈육체의 약속〉, 1977년 〈이어도〉, 1978년 〈흙〉 등을 연출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영화

영화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김기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