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기세배

다른 표기 언어 旗歲拜

요약 마을의 상징인 농기를 앞세워 마을의 서열에 따라 기를 수그려 인사하는 의식.

유래는 옛 군기 및 백중 전후의 술멕이풍습과도 연관이 있다. 이웃마을간의 단합과 협동정신을 배양하고 선의의 경쟁의식을 유발함으로써 건전한 싸움을 벌이며 놀았다.

지금 기세배가 전승되고 있는 전라북도 익산군 왕궁면과 금마면에서는 무려 24개 마을이 합동으로 기세배를 행한다. 기세배를 하기 전날 밤이나 그날 새벽, 간단한 제사를 농기 아래에서 드린 다음, 제사가 끝나면 농기맞이에 들어간다. 이에는 대장리·옥동부선생동네·건지리·구정리·서계리·서편마을·누니·교동·향교골·신촌·도천동·행정·원촌·황복골 등이 참여한다.

참가 구성원은 좌상·공원·총각·머슴·사령·기받이 그밖의 풍물꾼 등이다. 기물로는 꿩장목이 달린 농기, 소동기, 삼지창 달린 영기, 그밖의 악기를 준비한다. 농기맞이는 가장 어른마을인 선생마을 소동기가 막내마을의 농기를 맞이하러 가는 데서 시작된다. 기의 서열을 따지는 것은 두레공동노동집단의 전국적인 현상이었다. 기세배가 끝나면 각 마을은 대장리 마을기를 필두로 한마당 풍물판을 벌인다.→ 두레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문화 일반

문화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기세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