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평양특별시 사동구역 금탄리에 있는 신석기·청동기 시대의 집자리유적.
대동강 중류의 한 지류인 남강 유역의 하안단구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부근에는 미림 쉴바위, 청호리, 남경 등 많은 선사시대 유적들이 분포되어 있다.
1955년 북한 물질문화사연구소 고고학연구실에서 발굴·조사하여 3개의 문화층이 드러났으며, 이 가운데 1·2문화층이 신석기시대에, 그리고 3문화층은 팽이그릇이 주로 나오는 청동기시대에 해당한다.
1문화층에서는 너비 3.9m, 움깊이 30~50㎝ 정도의 집자리를 확인했다. 바닥에는 진흙을 다졌으며 가운데에는 15㎝ 정도의 진흙 테두리를 돌린 화덕시설이 있다. 여기서는 도끼·마치·활촉·삽(신바닥 모양 보습)·그물추·숫돌 등과 띠무늬, 삼각형 구획의 사선 무늬, 생선뼈 무늬 등이 베풀어진 장란형의 빗살무늬토기가 출토되었다. 2문화층에서는 사각형·직사각형의 움집 4기가 발견되었다.
화덕자리는 강돌을 잇대어 만들거나 진흙으로 테두리를 돌려 만들었다. 여기서 출토된 석기에는 버들잎과 나룻배 모양의 활촉·찔개살·도끼·곰배괭이·마치·갈판·숫돌·무늬돋치개·그물추 등이 있다. 특히 9호 집자리 근처에서는 그물추 600여 개가 무더기로 나오기도 했다. 흙구슬과 곱돌을 갈아 만든 팔찌도 있다.
토기는 1문화층의 토기에 새로운 요소가 덧붙여졌다. 전체 모양은 입술이 밖으로 약간 해바라지면서 몸통은 약간 볼록해지고 생선뼈 무늬가 그릇 전면에 베풀어졌다. 손잡이 달린 그릇이 많고 목단지도 있으며, 토기 밑창은 둥근밑·뾰족밑·납작밑의 3종류가 다 출토되었다. 2문화층에서는 민그릇 계통의 토기도 적지 않게 나왔는데, 이 가운데에는 덧무늬토기들도 포함되어 있다. 3문화층에서는 직사각형의 움집 4기가 발견되었는데 바닥에는 모두 진흙을 깔았으며, 움 깊이는 앞시기에 비해 많이 얕아져 20㎝ 정도로 나타나고 있다.
출토유물 가운데 특히 청동으로 만든 끌이 눈길을 끌며, 활촉·투창·단검·반달칼·턱자귀·대팻날·도끼·가락바퀴·돌돈·숫돌 등의 석기와 팽이그릇이 있다. 팽이그릇은 우리나라 청동기시대에 평안남도·황해도 지역에서 특징적으로 출토되는데, 몸통이 부른 데 비해 매우 뾰족한 밑굽을 가져 팽이 모양으로 보이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며 겹입술을 가지고 있다. 출토유물로 미루어 당시 금탄리 사람들은 농사를 짓고 물고기를 잡으며 사냥도 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유적의 연대는 1문화층이 BC 3000년기 전반기, 2문화층이 BC 3000년기 후반기에서 2000년기초, 3문화층은 BC 2000년기 후반기로 추정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청동기시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