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금산군의 산업과 교통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충청남도 남동단에 있는 금산군의 산업 현황과 교통 현황.

총경지면적은 109.62㎢이며, 그 가운데 논이 58.42㎢, 밭이 51.20㎢로, 논이 밭보다 많다(2006). 경지율은 19.02%이며, 이모작 면적이 88%를 차지한다.

주요농작물은 쌀·보리·콩·밀 등이며, 특산물로 인삼이 유명하다. 인삼은 해방 후 남한 생산의 95%를 독점했으나, 현재는 그 생산이 감소되는 추세에 있다. 금산읍 중도리에 있는 인삼국제시장을 비롯해 금산인삼장(5일장)과 수삼협동조합 등을 통해 전국 인삼의 80%가 거래된다. 임야는 전체면적의 71.5%를 차지하나 인삼밭을 넓히려고 삼림을 남벌했기 때문에 임산물의 생산이 부족하고 약간의 버섯과 약초만이 생산된다. 진산면과 부리면의 구릉지대를 중심으로 과수재배가 활발하며, 양잠과 양봉도 행해진다.

금산 인삼

충남 금산군 남일면 덕천리 인삼포에서 농민들이 인삼을 캐는 모습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상공업의 발달은 부진하나 주변산지에 여러 가지 광물이 매장되어 있어 광업이 활기를 띠고 있다. 진산면과 추부면에서 석회석, 부리면에서 형석, 복수면에서 무연탄, 태봉산에서 흑연이 생산된다. 2006년 현재 가동중인 광산은 11개소이며, 주로 석회석과 무연탄이 채굴된다.

인삼가공업을 중심으로 양조업·제재·제약·섬유·식품 등의 제조업체가 있으나 규모가 작다. 시장으로는 금산읍과 추부면의 정기시장 2개소, 상설시장 7개소, 가축시장 1개소가 있다. 대전과 옥천에서 연결되는 2개의 국도가 추부면을 지나 각각 대둔산도립공원과 금산읍으로 이어진다.

대전과 통하는 만인산과 지봉산 사이에 있는 태봉재를 비롯해 마달령고개·배티재·지삼재·송치고개 등이 있어 교통의 장애가 되며, 비포장도로가 많아 교통사정은 나쁜 편이다. 금성면에는 우리나라 전역의 해외통신중계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위성통신지구국이 있다. 도로총길이 326.5km, 도로포장률 85.9%이며(2006), 대전과 30분 이내의 거리에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충청남도

충청남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금산군의 산업과 교통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