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금산군의 연혁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충청남도 남동단에 있는 금산군의 행정구역의 변천사.

지금의 금산군은 조선시대의 금산군(錦山郡)과 진산군(珍山郡)이 1914년 통합된 곳이다. 지금의 금산읍·금성면·남이면·남일면·부리면·제원면·군북면은 옛 금산군 지역에, 지금의 진산면·복수면·추부면은 옛 진산군 지역에 대체로 해당한다.

옛 금산군은 삼국시대에 백제의 진내군(進乃郡 : 또는 進仍乙郡)이었는데, 신라의 삼국통일 후 757년에 진례군(進禮郡)으로 고쳐 전주에 예속시켰다. 이때 이성현(伊城縣)·주천현(舟川縣)·청거현(淸渠縣)을 영현으로 두었다. 고려시대에 들어 1018년 현으로 강등되었으나, 부리현(富利縣 : 백제 豆尸伊縣 또는 富尸縣이었다. 757년에 이성현으로 바뀌어 진례군 영현이 되었다가 940년 부리현으로 개칭하고 1018년 금산군 속현이 되었다.

1175년 감무를 둠으로써 독립하였으나 뒤에 금산에 병합되었다)·청거현(淸渠縣)·주계현(朱溪縣)·무풍현(茂豊縣)·진동현을 속현으로 두었다. 1305년 지금주사(知錦州事)로 승격되었으며, 1413년 금산군으로 바뀌어 조선시대 동안 유지되었다. 별호는 경양(景陽)·금계였다. 임진왜란 때 조헌과 영규가 이끄는 700명 의병이 이곳에서 일본군과 싸우다가 모두 전사했다. 1895년 지방제도개편으로 전주부 관할이 되었다가, 1896년 전라북도에 소속되었다.

1906년 월경지정리로 두입지인 부남면이 무주군으로 이관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에 의하여 진산군이 폐지되어 금산군에 통합되었다. 1940년 금산면이 금산읍으로 승격되고, 1963년 금산군이 전라북도로부터 충청남도로 편입되었다(→ 진산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충청남도

충청남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금산군의 연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