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금동신묘명삼존불입상

다른 표기 언어 金銅辛卯銘三尊佛立像 동의어 국보 85호
요약 테이블
문화재 지정 국보(1962.12.20 지정)

요약 황해도 곡산에서 출토된 일광삼존불 형식의 고구려 불상. 두 협시보살은 광배와 함께 주조되었고 본존은 따로 만들어 부착했다. 본존의 머리는 높은 육계에 얼굴이 크고 둥글며 몸체도 둥그스름하게 표현되었다. 좌우보살은 보관의 형태만 다를 뿐 X자형으로 천의를 걸친 모습이 거의 같다.

국보(1962.12.20 지정). 상높이 15.5㎝. 김동현 소장. 두 협시보살은 광배와 함께 주조되었고 본존은 따로 만들어 부착했다. 주존에 비해 주형거신광배의 좌우 보살상을 현저하게 작게 표현함으로써 주존을 돋보이게 하는 구도법을 쓰고 있다.

본존의 머리는 높은 육계에 얼굴이 크고 둥글며 몸체도 둥그스름하게 표현되었다. 대의는 통견으로 끝자락을 왼쪽 어깨 뒤로 넘겨 입었는데 몸 옆으로 늘어진 대의자락은 별로 뻗치지 않고 부드럽게 늘어지고 있다. 이러한 표현양식은 고구려 6세기 전반 불상인 연가7년명금동불입상(539)과 비교해볼 때 다소 새로운 특징들로서 이 상의 제작시기가 다소 내려감을 알려준다.

좌우보살은 보관의 형태만 다를 뿐 X자형으로 천의를 걸친 모습이 거의 같다. 광배의 불꽃 무늬는 도식화되었고 3구의 화불이 간략히 표현되었다. 광배 뒤에 새겨진 명문에 의해 5명의 도반들이 스승과 부모를 위해 조성한 아미타불임을 알 수 있고, 신묘는 불상양식으로 보아 571년(평원왕 13)으로 추정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금동신묘명삼존불입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