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한국 역사상 봉건제사회가 무너진 뒤에 나타난 사회.
근대사회를 자본주의 경제체제와 부르주아 민주주의적 정치구조의 결합이라 했을 때, 한국의 경우 근대사회를 수립하려는 운동이 시작된 시기, 또는 자본주의의 본격적인 전개 시점에 근대화 논의가 집중될 수밖에 없다.
한국 근대의 기점을 언제로 설정할 것인가는 사회성격 문제와 관련하여 중요하다.
우선 1860년대를 근대의 기점으로 보는 설은 동학의 발생과 대원군 정권의 개혁을 기준으로 삼는 경우와, 1860년대 양요(洋擾)와 같은 제국주의의 침략과 관련하여 식민지반봉건사회의 기점으로 삼는 경우, 반침략 민족운동의 발생을 근거로 삼는 경우로 나뉜다. 또한 1876년설은 개항 이전까지는 자본주의적 관계가 확립되지 못했다는 점 때문에 근대의 기점으로 볼 수 없다고 주장하기도 하지만, 세계자본주의체제에의 편입이라는 관점에서 부활되고 있다.
1894년설의 경우, 단지 자본주의적 경제구조의 수립과정이나 세계자본주의의 침투로 규정할 수 없고 1894년에 있었던 동학농민혁명과 갑오개혁과 같은 봉건제타파 운동에 의해 성립된다고 보는 견해이다.
오늘날 남한에서는 1876년설이, 북한에서는 1860년대설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은 19세기 중엽 서구 자본주의국가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해결해야 될 과제를 하나 더 안게 되었다. 봉건사회 내의 잔재를 청산하고 자생적인 '근대국가수립'이 하나의 주어진 과제라면, 그위에 식민지 확보를 목적으로 접근해오는 서양세력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가운데 '민족국가'를 건설해야 한다는 시대적 과제가 추가되었다. 이후의 선택은 자립적인 근대국가를 수립하느냐, 아니면 식민지로 전락하느냐 하는 것 뿐이었다.
위정척사파의 경우에는 대원군의 대외정책에서 나타나듯이 여전히 소중화(小中華)의 논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자기방어적인 입장에서 척화(斥和)를 부르짖었기 때문에 서양은 교역대상국이 아니라 단지 이적(夷狄)으로 보일 뿐이었다.
왕비 민씨 일족의 집권 이후 개화론자들에 의해 제기된 부국강병책은 절실한 시대적 요청이었지만, 서양의 자본주의에 대해 소극적인 대응책만을 제시함으로써 이후 외세의존적인 근대화론의 논리가 자리하게 된다. 갑신정변(1884)과 갑오개혁(1894)을 주도했던 개화파의 경우, 아시아의 패권을 노리던 일본을 모델로 근대화론을 전개시키게 된다.
이러한 근대국가 건설의 방향과 이 시기 일본의 정한론(征韓論)을 함께 검토한다면, 일본을 의지하는 것이 어떠한 결과를 가져올 것인가는 자명할 것이다.
이러한 근대사회 건설의 논리는 결국 '합병'이라는 방향으로 나타나게 된다.
한편 일군(一群)의 진보적인 지식인과 농민층은 반봉건(反封建)·반침략(反侵略) 기치 아래 1894년 동학농민혁명을 주도하게 된다. 민족적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농민들이 주창했던 자립적인 근대국가 수립은 결국 실패로 돌아갔지만, 제국주의 침략에 대한 저항은 이후 민족해방운동의 형태로 자리하게 된다.
민족해방운동은 단순히 식민지로부터의 독립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구래의 봉건적인 유습으로부터의 해방도 내포한다.
이것은 근대사회의 수립을 지향하는 변혁운동 그 자체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보이는 각 세력들의 근대사회 건설을 위한 노력은 20세기 중반 새로운 세계질서 위에 재편되는 현대사회로 그 책임을 넘기게 된다.
현대사의 출발 역시 근대사회의 성격을 규정하는 데 중요하다. 현대사의 시작을 언제로 볼 것이냐의 문제가 제기되지만 그보다 중요한 것은 어떠한 방법으로 근대사회를 건설했느냐의 문제이다. 따라서 근대사회에 제기되었던 반봉건 근대화와 반제국주의 자주독립의 과제가 본격적으로 제기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전개되고 있었던 시기를 한국의 근대로 설정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