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지방자치단체 행정구역의 하나.
광역지방자치단체인 도의 아래, 읍·면의 위에 해당하는 기초단체이다. 중국의 주(周)나라에서 비롯된 군제는 중국의 한(漢)이 위만조선을 멸망시키고 그곳에 한사군을 설치하면서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도입되었으며, 지방행정단위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고구려시대의 홀·파의·내노·세홀차·군·현, 신라시대에는 성(城)·촌(村)·군·현, 고려시대에는 목·군·현, 조선시대에는 목·부·군·현 등이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9주제와 군현제가 완비되어 전국을 9주로 나누고 이를 117군으로 나누어 현을 관할하도록 했다. 고려시대에는 5도양계의 하부행정구역으로 경(京)·도호부·목과 함께 군·현이 설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8도 밑에 부·대도호부·목·도호부·군·현이 설치되었다.
갑오개혁 이후, 1906년 부·목·군·현이 군으로 통칭되었고, 이때 1목 12부 334군을 두었다. 1914년 부제의 실시와 함께 1개군의 평균면적 약 160㎢, 가구수 약 1만 가구를 기준으로 군 구역을 317군에서 220군으로 개편하여 지금까지 군제의 근간이 되어왔다. 1961년 지방자치에 관한 임시조치법이 시행되면서 1949년 이래 시행되어왔던 기존의 읍·면 자치제를 폐지하고 군자치제가 실시되어 군이 기초자치단체로서의 지위를 얻게 되었다.
군의 행정사무를 처리하는 곳은 군청이며, 관할구역의 자치사무와 법령에 의해 지방자치단체에 속하는 사무를 수행한다. 명칭과 관할구역의 변경·폐지·분합시에는 관계 지방자치단체의회의 의견을 수렴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최고 책임자인 군수는 해당지역 주민의 직접선거로 선출된다. 부군수를 두되 일반직 지방공무원으로 임명하며, 도지사의 승인을 얻어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임명한다. 군의 행정조직은 일반적으로 2실 15과 2소 59계로 되어 있으며, 기획실·문화공보실·내무과·새마을과·재무과·지적과·사회과·환경보호과·산업과·가정복지과·산림과·지역경제과·건설과·도시과·주택과·민방위과·의사과·보건소·농업기술센터이다.
1995년 실시된 전국행정구역개편 이후 1996년 현재 남한의 군은 총 93개군으로 부산광역시 1개, 대구광역시 1개, 인천광역시 2개, 경기도 10개, 강원도 11개, 충청북도 8개, 충청남도 9개, 전라북도 8개, 전라남도 18개, 경상북도 13개, 경상남도 10개, 제주도 2개가 있다. 1990년 현재 북한의 군은 총 138개군이며, 함경북도 12개, 함경남도 15개, 양강도 11개, 자강도 15개, 평안북도 22개, 평안남도 15개, 황해북도 14개, 황해남도 19개, 강원도 15개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행정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