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설립 | 1949년 2월 23일 |
---|
요약 산림과학 지식 및 기술의 개발과 보급을 위해 설립된 산림청 직속 국립연구기관. 1949년 농림부 산하 중앙임업시험장으로 설립된 이래 한국의 산림정책과 보전, 산림생명자원과 목재 이용, 임업기술경영 분야에 대한 과학적인 기술과 지식 개발을 전담하는 연구기관이다. 산하에 산림기술경영연구소,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산림약용자원연구소 등 4개 연구소를 두고 있다.
정의
산림과학연구에 관한 산림정책·산림보전·산림생명자원·목재이용·임업기술경영 분야 등에 대한 과학적 조사·연구·분석 및 지식·기술의 개발에 관한 사항을 관장하는 산림청 직속 국립연구기관(<국립산림과학원 기본운영규정> 제4조).
역사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1949년 2월 23일 농림부 산하 중앙임업시험장으로 설립(대통령령 제57호)되었다. 중앙임업시험장의 전신은 일제강점기였던 1922년 설치되었던 임업시험장으로, 해방과 함께 조선임업시험장을 거쳐 1947년 국립임업시험장으로 이어진 임업 분야의 전문 기관이다. 1957년 6월 15일 <농사교도법>에 의해 농사원이 개원하면서 중앙임업시험장은 농사원 소속의 '임업시험장'으로 개칭되었고, 1961년 10월에는 농사원 시험국의 임산부로 개편되었다.
농사원이 1962년 4월 1일 농림부의 외청인 농촌진흥청이 설치되면서 폐지된 후, 농사원 시험국 임산부는 농촌진흥청 산하 입업시험장으로 개편되었고, 1967년 산림청이 발족되면서 산림청 소속 임업시험장으로 편제되었다. 1987년 12월 임업시험장이 '임업연구원'으로 개칭되었으며, 2001년 1월 책임운영기관을 시행했고, 2004년 1월 국립산림과학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8년 산림종자연구소를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로 분리하고, 2012년에는 한국임업진흥원을 분리했으며, 2016년에는 경북 영주에 산림약용자원연구소를 설립했다. 2021년에는 국가산불실험센터를 준공했다.
연혁
• 1922년 8월 : 임업시험장 설치
• 1945년 9월 : 조선임업시험장으로 개편
• 1947년 : 국립임업시험장으로 개편
• 1949년 2월 : 농림부 직속 중앙임업시험장으로 설립(공식 설립일)
• 1957년 5월 : 농사원 소속의 임업시험장으로 개칭
• 1961년 10월 : 농사원 시험국의 임산부로 개편
• 1962년 4월 : 농촌진흥청 임업시험장으로 개편
• 1967년 1월 : 산림청 임업시험장으로 개편
• 1981년 11월 : 산림자원조사연구소를 자원조사부로 통합
• 1987년 12월 : 임업시험장을 임업연구원으로 개칭
• 1998년 8월 : 임목육종연구원을 임목육종부로 통합
• 1999년 1월 : 임업연수원을 임업연수부로 통합
• 1999년 5월 : 중부임업시험장 수목원과를 국립수목원으로 분리
• 2004년 1월 : 임업연구원을 국립산림과학원으로 개칭, 이와 함께 중부임업시험장을 산림생산기술연구소로, 서부임업시험장을 산림종자연구소로, 남부임업시험장을 남부산림연구소로, 제주 임업시험장을 난대산림연구소로 개칭
• 2006년 1월 : 임업연수부를 산림인력개발원으로 분리
• 2008년 8월 : 산림종자연구소를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로 분리
• 2010년 8월 : 제 23차 IUFRO세계총회 개최
• 2012년 1월 : 한국임업진흥원 분리
• 2016년 6월 : 산림약용자원연구소 설립(경북 영주)
• 2018년 8월 : WCTE 세계목조건축대회 개최
• 2021년 1월 : 국가산불실험센터 준공
주요 업무
지속가능사회에 기여하는 산림전략 및 활용기술 개발, 안전하고 건강한 산림환경 유지·증진, 산림생명자원의 발굴·수집·개량 및 보급을 통한 가치있는 미래 산림자원 육성, 탄소중립 사회를 구현하는 임산자원 이용가치 확산, 산림과학기술 혁신을 통한 ICT 융복합 디지털 산림관리 기반 구축, 경제림 품질제고 및 국산재 생산비용 절감 기술 개발, 산림생명자원의 생활소재 가치 발굴 및 실용화 원천기술 개발, 난·아열대 산림의 지속가능한 보전 및 이용기반 구축, 임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프리미엄 산림약용자원 육성 및 산업화를 활용기반 구축 등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조직
원장 아래 미래산림전략연구부, 산림환경보전연구부, 산림생명자원연구부, 임산자원이용연구부 등 4부와, 산림기술경영연구소,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산림약용자원연구소 등 4개 연구소로 조직되어 있다. 연구시험림으로 홍릉시험림, 수원시험림, 광릉‧홍천시험림, 진주시험림, 서귀포‧한남시험림, 영주시험림이 있다.
현황
연구소의 소재지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57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