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광주가톨릭대학교

다른 표기 언어 Gwangju Catholic University
요약 테이블
설립 1962년 3월 7일
유형 사립 신학대학
소재지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중남길 12-25
사이트 http://www.gjcatholic.ac.kr/

요약 나주시 남평읍에 있는 학교법인 대건학당 소속의 가톨릭계 신학대학. 가톨릭 교회의 사제를 양성하기 위해, 1962년 한국 천주교의 첫 사제 김대건 성인을 주보로 모신 대건신학교로써 설립되었다. 대건신학대학, 광주가톨릭대학 시절을 거쳐 지금의 모습으로 발전해왔다. 신학생들이 국가와 인류의 복음화에 공헌할 수 있는 봉사자가 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을 교육 목적으로 한다.

개요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에 소재한 학교법인 대건학당 소속의 가톨릭계 신학대학. 가톨릭 사제직을 지망하는 신학생들이 올바른 신관·세계관·인간관을 정립할 수 있는 이론적 지식과 교회 전례 및 대인봉사에 필요한 실천적 지식을 배워, 국가와 인류의 복음화에 공헌할 수 있는 봉사자가 되는 것에 목적을 둔다. 교시는 '진리에 봉사'이다.

광주가톨릭대학교

광주가톨릭대학교 전경,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남석리 170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연혁 및 변천

광주가톨릭대학교는 1962년 3월 7일, 한국 천주교의 첫 사제 김대건 안드레아 순교성인을 주보로 모신 대건신학교를 전신으로 발전해왔다. 당시 학교는 재단법인 광주구 천주교 유지재단이 운영했으며, 신학과와 철학과 2개 학과를 갖추고 있었다. 1964년 사립학교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새로운 학교법인 대건학당이 설립되었고, 이듬해 1월 대건신학대학으로 설립인가 받았다. 이후 1985년 3월 교명을 광주가톨릭대학으로 변경했고, 1994년 3월 지금의 명칭인 광주가톨릭대학교로 다시 변경했다.

1995년 10월에는 대학 이전 계획에 따라 지금의 위치인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남석리 대지 10만 여 평에 기공식을 열었으며, 이듬해 8월 남평 교사 성당 정초식을 가졌다. 한편, 1990년부터 1976년 이래 시행되어 온 6년제 교과과정을 7년제로 변경해야 한다는 의견을 수렴하여, 1997년 입학생부터는 다시 7년제가 적용되었다. 1969년 6월 안병태 외 1명이 본교 출신으로서 첫 사제서품을 받은 것을 시작으로, 2006년 1월에는 김경수 외 12명이 사제서품을 받아 이때까지 총 781명의 사제를 배출한 바 있으며, 2011년 2월 기준으로는 890명의 사제를 배출했다.

대학 조직

설치된 학과는 신학과 하나이다. 1973년 1월 대학원이 설립되어 신학과 내에 역사신학·조직신학·실천신학 등의 전공을 개설했다. 부속기관으로는 중앙도서관·출판부·신학연구소·평생교육원 등이 있다.

현황

캠퍼스는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남석리 중남길 12-25에 소재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광주가톨릭대학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