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대장 내의 변을 제거하기 위해 직장을 통해 용액을 주입해 강제로 배변하는 조치.
변비를 완화 시키거나, 수술·분만과정중 변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하며, 대장에 비눗물 등을 주입하여 장내용물을 제거시키는 것이다. 비눗물관장이 많이 사용되며, 이를 위해서는 관장액(용액 500~1,000㎖ 정도를 체온보다 약간 높게 유지하여 장의 연동운동을 최대한 자극함)·관장통·윤활제·직장관 등이 필요하다. 관장을 하는 방법은 먼저 환자의 무릎관절과 대퇴관절을 약간 구부리고 왼쪽 옆으로 눕게 한 뒤 오른쪽 다리를 완전히 구부리게 한다.
그런 다음 직장관에 용액을 채워 공기를 제거한 후, 윤활제를 바르고 환자의 입을 벌려 숨을 내쉬게 하면서 직장관에 부드럽게 삽입한다. 관장통을 침상에서 40~50cm 높이되는 곳에 올려 놓아서 관장액이 서서히 들어가도록 하며, 효과적인 관장을 위해서는 최소한 10분 정도 참은 후 배변을 하도록 한다. 그밖에 글리세린 등과 같이 장운동을 촉진시키는 관장이 있으며, 대장수술을 하는 경우 장내용물의 최대한 제거를 위해 시행하는 식염수 관장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소화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