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공주 의당 금동보살입상

다른 표기 언어 公州 儀堂 金銅菩薩立像 동의어 국보 247호
요약 테이블
문화재 지정 국보(1989.04.10 지정)

요약 백제의 금동보살입상. 1974년 충청남도 공주군 의당면 송정리의 한 절터에서 출토되었다. 머리에 쓴 삼면보관에 화불이 새겨져 있어 관음보살임을 알 수 있고, 보발은 높은 보계로 묶은 다음 나머지는 두 갈래로 갈라져서 어깨 위로 늘어져 있다. 얼굴이 통통하며 몸과 양팔 사이가 뚫어져 있다든가 왼쪽 무릎을 약간 앞으로 내밀고 서 있는 자세 등에서 입체적인 표현이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굴곡있는 양감이 적으며 자세도 약간 경직되어 있다.

국보(1989.04.10 지정). 높이 25cm. 국립공주박물관 소장. 1974년 충청남도 공주군 의당면 송정리의 한 절터에서 출토되었다.

머리에 쓴 삼면보관에 화불이 새겨져 있어 관음보살임을 알 수 있다. 오른손에는 연봉오리를 들고 아래로 내린 왼손에는 정병을 들었으며, 두툼한 단판 연화대좌 위에 서 있다. 몸에 비해 큰 네모진 얼굴에 이목구비가 명료하고 두 뺨이 팽팽하여 원만한 보살상의 모습을 보여준다.

보발은 높은 보계로 묶은 다음 나머지는 두 갈래로 갈라져서 어깨 위로 늘어져 있다. 다소 부드러운 굴곡이 드러나 보이는 몸에는 천의와 긴 영락을 이중으로 걸쳤는데, 천의는 양 어깨를 넓게 덮고 몸 앞으로 늘어지면서 허리 아래에서 교차되고, 다시 양팔 위에 걸쳐서 몸 옆으로 길게 늘어지고 있다. 긴 영락은 굵은 띠 형태로 목걸이의 가운데와 배부분에 둥근 장식이 있고, 몸의 뒷면에도 같은 형태의 영락이 보인다.

얼굴이 통통하며 몸과 양팔 사이가 뚫어져 있다든가 왼쪽 무릎을 약간 앞으로 내밀고 서 있는 자세 등에서 입체적인 표현이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굴곡있는 양감이 적으며 자세도 약간 경직되어 있다.

조각양식상 중후하고 당당한 느낌이 드는 백제 7세기 전반의 대표적인 금동보살상 중 하나로 비슷한 시기의 백제보살상인 부여규암면출토금동관음보살입상과 비교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백제

백제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공주 의당 금동보살입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