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1905년 안창호를 중심으로 재미교포들이 조직한 한인공립협회의 기관지.
1905년 11월 22일 창간했으며 사장은 안창호, 주필은 송석준이었다. 창간 당시에는 활자를 갖추지 못해 직접 붓으로 쓴 순국문체를 석판인쇄했다.
월 2회 발행. '공립신보'라는 제호는 동포가 서로 돕자는 뜻에서 나온 것이다. 창간사에 "옳은 이치를 동포에게 충고하여 우리 종족을 보존할 마음이 나게 하며, 모든 부패한 사상과 추악한 습관을 버리고서 새 정신으로 나아가게 하기 위해 창간"한다고 밝히고, 자주독립과 국권회복을 강력하게 내세웠다. 1907년 4월 26일 활자인쇄를 시작했으며, 주필인 송석준이 병으로 죽자 편집인 겸 발행인은 정재관, 인쇄인은 이교담으로 바뀌어 1주일에 1호씩 발행하기 시작했다.
미국 본토 외에도 하와이에 1곳, 블라디보스토크에 4곳, 서울을 비롯한 전국에 32곳의 보급소를 두고 국내 독자들에게도 배포했다. 창간 때의 발행부수는 300부, 나중에는 5,000부까지 늘어났다. 국내 민족지에도 관심을 갖고 1907년 〈제국신문〉이 재정난에 빠지자 앞장서서 의연금을 모금하거나 〈대한매일신보〉의 애국정신을 크게 보도하기도 했다. 1908년 3월 23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장인환·전명운에 의해 일본을 두둔했던 D. W. 스티븐스가 피살되자, 3월 25일자 1면 전면에 이 사실을 대서특필하고 미국인들에게 한국 독립운동에 관심을 갖도록 했다.
1908년 4월 일제 통감부가 신문지법의 단속규정을 강화하고 국내에 들어오는 교포신문도 통제함에 따라 1908년 3월 20일 제75호가 압수당한 것을 시작으로, 총22회 1만 300부가 압수·발행금지되었다. 1909년 2월 공립협회가 국민회로 바뀌자 〈대동공보〉와 통합하여 그해 2월 10일에 〈신한민보〉로 이름을 바꾸었다.→ 신한민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