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다른 표기 언어 gong

요약 금속으로 만든 원반형 타악기.

공(gong)

탐탐이라고도 하는 동양계의 타악기이다.

ⓒ fir0002/위키피디아 | GFDL 1.2

펠트나 가죽을 덧씌운 채로 악기의 가운데를 치면 소리가 나는데, 음 높이는 일정하게 고정된 경우도 있고 일정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가장자리가 울리는 종(鐘)과는 달리 가운데에서 음향 진동이 생긴다. 테두리가 좁은 것과 넓은 것(케틀 공), 가운데에 원형의 볼록 장식이 있는 것과 없는 것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테두리가 없는 것도 더러 있다.

6세기 중국 그림에 보면 변방지역으로부터 유래한 악기로 등장하고, 9세기 자바에서도 사용되었다. 그 기원에 대해서는 근동지방이라는 설과 동남아시아라는 설이 있으며, 테두리가 넓은 1~2세기 로마의 공이 영국 윌트셔에서 발굴되었다. 납작한 모양의 공은 인도에서부터 일본까지의 지역에 걸쳐, 원형의 볼록 장식이 달린 공은 미얀마에서부터 인도네시아에 걸쳐 발견되며 공이라는 말은 자바어이다.

공은 춤, 연극, 노래, 메시지의 전달에 쓰이며 마술적인 수호력을 지닌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부귀를 상징하고 사회적 지위를 표시한다. 인도네시아의 가믈란 합주에서 공은 주도적인 악기로서 하나만 연주하거나 테두리가 넓고 볼록 장식이 있는 공을 여러 개 조율하여 나무틀에 줄로 매단 공 차임(자바어로 '보낭')으로 합주 음악을 연주하기도 한다.

서양의 관현악단에서는 음 높이가 일정하지 않은 납작한 중국 공(서양식 이름은 '탐탐')을 쓰며, 간혹 테두리가 넓은 공 차임을 쓰기도 한다. 음향학적으로 트리니다드 섬의 강철북도 여러 음을 내는 일종의 공이다. '슬릿 공'(slit gong)이라는 말은 때로 슬릿 드럼을 가리킨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타악기

타악기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