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고한승

다른 표기 언어 高漢承
요약 테이블
출생 1902. 8. 27, 경기 개성
사망 1949. 10. 29, 경남 부산
국적 한국

요약 아동문학가·신극운동가. 색동회를 중심으로 동화를 창작하거나 구연해 어린이의 정서함양에 이바지했다. 도쿄 유학 시절 극예술협회를 조직해 신극운동을 시작했고, 귀국 후에는 방정환과 함께 색동회를 만들어 어린이 운동에 전념했다. 인삼밭을 배경으로 한 사회적 영향력으로 개성 지역의 각종 사회활동에도 기여했으나 말년의 친일 행각으로 해방 후 기소되어 화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일제강점기의 연극인·아동문학가. 개성의 인삼밭을 소유한 부호 고도후의 장남으로 출생, 개성제1공립보통학교와 보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연희전문학교에 입학 후, 마해송, 진장섭 등과 함께 <여광> 동인으로 활동했다. 곧 일본으로 유학, 1920년 봄에 김우진·홍해성 등과 함께 극예술협회를 조직하고, 연극의 새로운 방향에 대해 매주 토론회를 열었다.

1921년 일본 동양대학 문학과에 입학했으며, 개성출신의 도쿄 유학생 단체인 송경학우회를 이끌고 귀국해 1921년 7월 27~28일 개성좌에서 <백파의 울음>·<과거의 죄인> 등의 연극을 공연했다. 1922년에는 형설회순회연극단을 조직해 직접 각색한 〈장구한 밤〉·〈4인 남매〉 등을 공연했고, 1923년에는 진장섭, 마해송 등과 함께 문학연구단체 녹파회를 결성했다.

한편 1923년 1월 처음 쓴 동화 <옥희와 금붕어>를 동아일보에 발표하면서 아동문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해 5월 방정환 등과 함께 색동회를 조직한 뒤, 〈어린이〉에 동화 〈까마귀와 공작새〉(1926. 2)·〈무사와 공주〉(1928. 7) 등을 발표했고, 동화집으로 〈무지개〉(1927)를 펴냈다. 고한승은 본명 외에도 포빙, 고마부 등의 필명을 사용했는데, 시와 시조를 쓸 때는 고마부라는 필명을 주로 썼다. 그는 1933년 개성에서 창간된 <고려시보>에 1941년까지 시와 시조, 소설, 동화, 수필 등 약 50편의 작품을 발표했다.

한편 인삼밭을 바탕으로 한 그의 사회활동도 계속되었다. 1928년에는 개성상사의 이사를 맡았고, 5월에는 개벽사의 상무취체역이 되기도 했다. 1929년에는 개성 체육회의 이사가 되기도 했으며, 1933년에는 개성인삼동업조합의 평의원으로, 1934년에는 개성농구협회 회장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고한승은 일제강점기 말기인 1941년 개성지역 유지들이 일본에 비행기를 헌납하는 운동을 벌일 때 실행위원이 되었고, 1945년에는 송도항공기주식회사를 설립하여 대표이사를 맡았다. 해방 직후에는 개벽사에 근무하면서 1948년 5월 <어린이> 잡지를 복간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말의 친일 행각이 1949년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의해 기소되면서 화병을 얻어, 1949년 10월 세상을 떠났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박금숙, 홍창수, <두 작가를 동일인물로 혼동한 문학사적 오류- 아동문학가 고한승과 다다이스트 고한용의 생애 고찰 중심으로>, 한국아동문학연구 제23호, 2012.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작가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고한승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