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계모형소설

다른 표기 언어 繼母型小說

요약 전처의 자식에 대한 계모의 박해를 다룬 소설.

소규모 가정을 무대로 한다는 점에서 가문소설과 다르고, 재산갈등을 다룬다는 점에서 처첩간의 갈등을 다루는 쟁총형 소설과 다르다.

고전소설에 자주 나오는 낙관적 분위기나 행복한 결말에 비해 계모의 학대로 전처 자식이 죽는 비극적 정서가 두드러진다. 계모를 무조건 나쁘게 그린 점이나 전처 자식을 모해하는 수법은 작품마다 대체로 비슷하다. 가장으로서의 남편이나 아버지의 존재가 무기력하게 나타난 점은 봉건체제의 붕괴를 상징한다. 계모를 가정에서의 이질적인 존재로 본 것은 부계혈통을 강조하고 족보가 성행하던 17세기 이후의 사정을 잘 드러내고 있다.

계모형 소설의 독자층은 주로 서민 부녀자들이었다. 가정에서 벌어지는 여러 문제들, 즉 남자의 재취, 전처자식을 매개로 한 여자의 질투, 재산상속 등은 이들의 일상적 삶과 밀착된 내용이다. 우리나라를 배경으로 한 〈장화홍련전〉·〈콩쥐팥쥐전〉·〈정을선전〉·〈조생원전〉·〈김인향전〉·〈황월선전〉 등과 중국을 배경으로 한 〈양풍운전〉·〈어룡전〉 등이 있고, 다른 유형의 소설이지만 부분적으로 계모의 학대를 다룬 〈김취경전〉·〈현수문전〉 등이 있다.

이 소설들은 20세기에 들어와 이인직의 〈치악산〉, 이해조의 〈구의산 九疑山〉·〈봉선화〉 등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봉선화〉는 〈장화홍련전〉의 줄거리를 그대로 모방한 것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문학

문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계모형소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