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계국대장공주

다른 표기 언어 薊國大長公主 동의어 보탑실련, 寶塔實憐, 卜答失里, 한국장공주, 韓國長公主
요약 테이블
출생 미상
사망 1315(충숙왕 2)
국적 고려, 한국

요약 고려 제26대 충선왕의 비(妃).

이름은 보탑실련(寶塔實憐). 원나라 진왕(晉王) 감마랄(甘麻剌)의 딸이다. 1296년(충렬왕 22) 충선왕이 세자로 원나라에 있을 때 혼인하여 세자빈이 되었다.

1298년 고려에 와서 충선왕이 즉위하자 왕비가 되었다. 왕이 자기를 멀리하고 조인규(趙仁規)의 딸 조비(趙妃)를 사랑하자 이를 원나라 황실에 몰래 알려 조비를 처벌케 하고 충선왕과 함께 원나라에 소환되었다.

이 일로 왕위가 충렬왕에게 다시 넘어가자 충선왕에게 불만을 품고 있던 오기(吳祁)·왕유소(王維紹)·송린(宋璘)·석주(石胄) 등이 충렬왕에게 충선왕을 모함하여 부자 사이를 이간시키는 한편 계국대장공주를 서흥후(瑞興侯) 전(琠)에게 개가시키려고 했다. 그러나 1307년(충렬왕 33) 원나라 성종이 죽고 무종(武宗)이 즉위하자 무종 즉위에 공을 세운 충선왕의 세력이 커지게 되었다. 고려에서도 최유엄(崔有渰)의 간언으로 충렬왕과의 불화가 풀어짐에 따라 공주의 개가문제도 가라앉았다. 따라서 공주의 개가문제를 일으켰던 왕유소·송린·송방영(宋邦英) 등과 서흥후 전은 모두 살해되었다.

1310년(충선왕 2) 한국장공주(韓國長公主)에 봉해졌으며, 1313년 왕과 함께 원나라에서 돌아왔다. 1315년에 원나라에서 죽었으며, 1317년 원나라에서 계국대장공주로 추봉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계국대장공주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