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2022년 5월 9일까지 대통령 관저로 사용되었던 청와대의 옛 명칭.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번지에 소재한다. 일제 강점기 총독 관저로 건축되었으며, 1948년부터는 이승만 대통령의 관저로 사용되었다. 1960년 '청와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전 대통령 관저였던 청와대의 옛 이름. 서울 종로구 세종로 1번지에 있다. 속칭 '효자동 1번지' 또는 청기와 지붕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푸른 기와집'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조선시대에는 이곳이 연무장·과거장 등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이 집은 그동안 주인이 여러 차례 바뀌었고, 그때마다 명칭도 바뀌었다. 원래 이 집은 일제의 식민통치를 받던 1937년 5월 7일 '조선총독관저'로 건축되었다. 일제는 조선민족의 혼이 담겨져 있는 경복궁 앞에 조선총독부를 세운 다음, 경복궁 뒤에 총독관저를 지었던 것이다.
이 집의 최초 주인은 일제의 제7대 조선총독인 미나미 지로[南次郞]였다. 그후 일제의 8, 9대 총독이 이 집에 머물렀는데 8·15해방과 더불어 그 주인도 바뀌었다. 1945년 9월 8일 남한 주둔군 사령관으로 서울에 도착한 J.R. 하지 중장이 이 집에 들어와 1948년 8월 24일 3년여 동안 이 집에서 거주했다. 이어 1948년 8월 15일 정부수립과 더불어 초대 대통령으로 피선된 이승만 대통령과 그의 부인 프란체스카 여사가 이 집의 주인이 되었다.
1960년 4·19혁명으로 자유당 정권이 붕괴한 후 이승만 대통령이 4월 28일 이 집을 떠날 때까지 12년 동안 '경무대'라 불렸으며, 윤보선 대통령이 '청와대'라고 명칭을 변경했다. → 이승만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