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게마인샤프트와 게젤샤프트

다른 표기 언어 Gemeinschaft and Gesellschaft

요약 독일의 사회학자 페르디난트 퇴니에스가 그의 영향력있는 저서 〈게마인샤프트와 게젤샤프트 Gemeinschaft und Gesellschaft〉(1887)에서 체계화한 사회조직의 이념유형들. 대표적인 게마인샤프트로는 시골의 농촌사회를 들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게젤샤프트로는 대규모 산업 조직을 들 수 있다.

사회체제들의 성격에 관한 퇴니에스의 개념은 그의 게마인샤프트(공동사회)와 게젤샤프트(이익사회)의 구별에 바탕을 두고 있다.

게마인샤프트의 전형인 시골의 농촌사회에서는 대인관계가 전통사회의 풍습에 따라 정해지고 규제된다. 사람들은 서로 단순하고 솔직하게 직접 상대하는 관계를 맺으며, 이러한 관계는 자생적 의지(Wesenwille) 즉 자연스럽고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감정들과 정서의 표현들에 의해서 결정된다.

게젤샤프트는 그와 대조적으로 합리적 의지(Küwille)의 산물이며, 행정관료들과 대규모 산업 조직들이 있는 20세기의 세계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사회들이 그 전형이다. 게젤샤프트에서는 합리적인 이기주의와 타산적인 행동이 게마인샤프트의 구조에 편재하는 가족·친척·종교의 전통적 유대를 약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게젤샤프트에서는 인간관계가 능률이나 그밖의 경제적·정치적 이익을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구축되기 때문에 비인격적이고 간접적으로 되게 마련이다.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산업화가 진전됨에 따라 응집적인 농민의 가치관이 소외되고 와해되자, 이같은 산업화에 환멸을 느낀 많은 지식인들이 게마인샤프트가 낭만적이라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퇴니에스의 양분법을 이와 같이 잘못 사용했기 때문에 게마인샤프트와 게젤샤프트는 이념형에 불과할 뿐 분류상의 범주가 아니라는 것을 파악하지 못하게 되었다.

페르디난트 퇴니에스(Ferdinand Tönnies)

페르디난트 퇴니에스의 두상

ⓒ VollwertBIT/wikipedia | CC BY-SA 2.5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게마인샤프트와 게젤샤프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