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오늘날의 검역활동

다른 표기 언어

요약 현대 사회에서 행하고 있는 전염병에 접촉했을 가능성이 있는 사람이나 동물을 감염되지 않았다고 밝혀질 때까지 가두어 두거나 활동을 제한하는 것.

오늘날 전염병을 통제하는 데 있어서 사람들의 격리는 옛날보다 더 융통성있고 더 넓게 실시하고 있다.

천연두(smallpox)나 장티푸스(typhoid)와 같이 사람이 사람에게 직접 전염시키는 위험한 전염병은 격리하고 있다. 그러나 격리는 여러 가지 이유로 실패가 따른다고 알려져 있다. 모기가 매개체인 황열병이나 말라리아처럼 중간매개체에 의해 전염되는 질병에는 격리가 효과적이지 못하다. 또 페스트의 경우 격리가 사람들 사이의 전염을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은 하지만, 쥐벼룩에 물려 감염되는 주감염경로에는 아무런 효과도 미치지 못한다.

브루셀라병(brucellosis)도 대개 감염된 가축이나 그 배설물에 의해 전염되는 병이므로 환자를 격리하는 것은 적당하지 않다. 심지어 어떤 병은 격리가 개인을 보호하는 데는 효과가 있어도 전체적인 유행을 막는 데는 아무런 소용이 없을 때도 있다. 홍역은 두드러진 증상인 발진이 나타나기 며칠 전부터 전염되고, 소아마비를 일으키는 폴리오 바이러스(polio virus) 감염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실제 병을 앓지 않는 보균자이므로 뚜렷한 증상없이 전염균을 가지고 다니게 된다. 이처럼 드러나지 않는 전염원을 찾아내어 격리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격리가 비록 전염병에 효과적인 방법이라도 현실적으로 격리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전염병에 대해 더 잘 알게 됨에 따라 요즘은 검역이 많이 달라졌으며, 문자 그대로의 검역은 광견병을 예방하기 위해 동물에 실시하는 것이다. 사람에게 실시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환자가 다른 사람과 접촉하는 일을 감시하고, 가능하면 매일 의사의 진찰을 받아 질병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도록 하되 활동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검역은 다른 예방법과 함께 천연두와 같은 질병에 이용된다.

때로는 다른 방법을 쓰기도 하는데, 장티푸스 보균자는 대소변을 반복하여 세균학적으로 검사해서 균이 나타나지 않을 때까지 음식을 다루는 일은 하지 못하도록 규제한다. 한때는 면역이 없는 어린이가 일단 홍역에 노출되면 학교에 보내지 않고 집에서 지내도록 했으나, 이 방법은 홍역 백신(vaccine)이 보편화되기 전까지도 실행이 안되고 있었다. 식물이나 식물로 만든 물품의 검역과 규제는 여전히 국제간 협약에 따라 널리 시행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생물

생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오늘날의 검역활동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