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총체적인 경제활동을 연구하는 분야.
재화와 용역의 총생산량과 총소득, 생산요소의 고용수준, 전반적인 물가동향 등을 분석한다. 1930년대까지는 대부분의 경제분석이 개별기업과 산업을 분석하는 데에만 집중되어 있었다. 그러나 1930년대 대공황이 발생하고 국민소득과 생산통계에 대한 개념이 개발됨에 따라 거시경제학이 널리 발전하기 시작했다.
거시경제학의 정책목표는 경제성장·물가안정·완전고용 등이다.
사회과학의 하나로 경제학이 체계를 갖춘 지 200여 년이 되는 동안 주류를 이루어온 것은 미시경제학이었다. 거시경제학이 학문의 하나로 성립된 것은 1920∼30년대 대공황기에 대량으로 발생한 실업문제를 바탕으로 J.M. 케인스가 저술한 〈고용·이자 및 화폐의 일반이론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이 출판된 1935년경부터라고 알려져 있다.→ 미시경제학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