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남자들이 머리에 쓰던 입자.
일반적으로 흑립을 갓이라고 하며, 백관들이 관청에 드나들 때 착용했으나 조선시대 초기부터 백관의 편복에 착용했다. 이것은 평량자·초립 등의 단계를 거쳐서 마지막에 정립된 조선시대 입제의 귀결점으로 양반신분만의 전용물이었다.
조선시대에 착용한 갓의 종류로는 말총으로 만든 마미립, 돼지털로 만든 저모립, 대[竹]를 실같이 가늘게 해서 만든 죽사립, 죽사립 위에 나(羅)와 주(紬)를 입힌 과라립, 돼지털과 대를 섞어 만든 죽저모립 등이 있다. 시대에 따라 모자의 높이와 양태의 넓이가 변했으며, 싸개의 종류에 따라 등급이 달라지기도 했다. 갓은 조선시대 중엽에 가서야 비로소 대체적인 양식이 갖추어졌다.
갓에 딸린 것으로는 갓끈·갓양태·갓집 등이 있다. 갓끈은 갓에 달린 끈으로 헝겊을 접거나, 나무·대·대모·산호·수정·유리·호박 등을 꿰어 만드는데, 직위에 따라서 재료가 달랐다. 갓끈의 모양과 재료만 가지고도 신분을 알 수 있었으며, 율령으로 이를 정하여 시행하였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 신분제가 문란해지면서 제대로 시행되지 않아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기도 했다.
갓싸개는 갓을 보호하는 천으로 신분의 귀천에 따라서 포(布)·사(紗)·모(毛) 등으로 구별하였다. 갓양태는 갓의 차양으로 둥글고 넓적한 바닥을 의미한다. 갓집은 갓을 넣어두는 물건이며 조선시대에는 의관을 중히 여겨 갓을 넣어둘 때도 반드시 갓집에 넣어두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