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아프리카 서부를 흐르는 강.
전체길이 1,120㎞로 기니 공화국에서 발원하여 감비아를 거쳐 서쪽으로 흘러 대서양으로 빠져나간다. 주요 지류는 산두구 강과 소피아니아마 강이다. 감비아 강은 아프리카에서 가장 훌륭한 수로에 속하며 원양 해운을 가능케 해주는 아프리카 서부의 유일한 강이다.
이 강은 양쪽 기슭의 좁고 길다란 땅을 국토로 삼고 있는 독립국 감비아를 하나로 묶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감비아와 세네갈의 정치적 분리(이런 상황은 공식적으로 1982년 양국의 동맹으로 끝났음)로 인해 오랫동안 감비아 강과 그 유역의 자원개발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감비아 강 개발은 양국간의 동맹이 있기 4년 전인 1978년에 감비아와 세네갈 양국이 감비아 강 개발기구를 발족함으로써 시작되었다. 1980년에는 기니가 이 개발기구에 새로 참여했다.
푸타잘론 산악지방에서 발원한 감비아 강은 강의 후미가 리아스식으로 된 강어귀까지 흘러간다. 강줄기가 갈라졌다 모아졌다 하는 이른바 '망상'(綱狀 braiding)현상으로 강 중류에 몇 개의 섬들이 생겨났는데, 그 가운데 엘레펀트 섬과 매카시 섬이 가장 크다. 감비아 강에는 볼론(bolon)이라고 불리는 많은 샛강이 합류하는데, 그중 남쪽에서 흘러들어오는 빈탕 볼론이 가장 크다.
강유역의 폭은 강줄기의 흐름에 따라 현저하게 넓어졌다 좁아졌다 한다. 강유역은 제3기(6,640만~160만 년 전)에 생성된 사암 고원에 막혀 중단된다. 강 하류에는 97㎞ 내륙까지 울창한 맹그로브 습지가 발달해 있고, 내륙으로 더 들어가면 저지에 펼쳐져 있는 담수습지와 염분이 침적된 평지가 강 절벽을 따라 조그만 나무와 관목이 빽빽이 들어선 숲으로 바뀐다. 좀더 높은 강기슭 언덕에는 습지와 관목 대신 초원지대와 키 큰 풀들이 펼쳐져 있다. 감비아 강 유역의 저지대에는 야생 기름야자가 자란다.
강과 그 샛강에서 자라는 식물은 벌레와 짐승, 새들에게 좋은 서식처를 제공해주고 있다. 습지는 모기와 체체파리가 번식하기에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강에는 물고기가 풍부하며 하마와 악어 같은 동물들도 많다. 현재 알려진 400종의 새들 가운데 물총새·뻐꾸기·제비·백로·태양새·매·솔새 등도 있다. 강에서 가장 가까운 습지대에는 종종 30m도 넘게 자라는 맹그로브 나무가 빽빽이 들어서 있으며 수많은 야생 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농사를 짓거나 사람이 살기에는 부적합하다.
강 하류의 풀이 무성한 평지(현지말로 반토 파로)는 주기적인 소금물의 침수로 경작이 불가능하며 주민도 거의 없다. 그러나 강 중류 및 상류의 평지는 어느 정도 농사가 가능하다. 목초지는 대개 정기적으로 벌초하여 푸석푸석한 땅도 쉽게 경작할 수가 있다. 중류에 있는 평지의 비옥한 충적토는 해마다 강물이 범람, 집약적인 벼농사에 적합하다. 비탈진 고지대에는 모래와 물이 잘 빠지는 흙이 많아 땅콩이 특히 잘 자란다. 따라서 농산물 경작 및 부락 조성은 중류 평지와 비교적 높은 경사지에서 이루어진다. 부락들은 대개 평지와 고원의 중간 경계선에 형성되는데, 이는 저지대의 범람과 고지대의 불모지 모두를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감비아 강은 아프리카의 강들 가운데 운행하기 좋은 강 중의 하나이며, 따라서 중요한 기능은 역시 수송이다. 또한 감비아의 대동맥으로서 국내의 승객·화물·우편 수송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감비아 강 남북로 횡단에는 바라와 반줄, 바니와 케레완, 파라페니와 예리텐다, 카우우르와 제사디 사이를 정기적으로 왕복하는 나룻배들이 이용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