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가족농

다른 표기 언어 family farm , 家族農

요약 농업경영에 필요한 노동이 주로 가족에 의해 공급되는 농가.

가족농에 의한 경영은 고용노동에 의해 행해지는 자본주의적 경영과 대비되는 말이다. 농번기에는 고용노동이 약간 이용될 수 있지만 경영에 이용되는 노동력은 주로 자가공급에 의하며, 고용노동은 종적으로만 이용되는 것이 요건이다. 따라서 자가노동(自家勞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경영규모는 한계가 있으므로 가족농은 주로 소농경영에 속한다.

이러한 가족농의 형태로는 전업농(專業農)과 겸업농이 있다. 첫째, 경영에 필요한 노동을 모두 자가노동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가보유의 노동을 전부 자가의 농업경영에 사용하는 경우, 즉 노동을 자급자족하는 전업농가(순수한 가족농, 협의의 가족농)의 경우가 있다. 둘째, 경영의 규모가 매우 적어 자가보유의 노동이 전부 이용되지 못하는 경우, 잔여 노동부분이 유휴로 되어 부분적 실업으로 되거나 농업 외에 일자리를 가지면서 겸업농가(광의의 가족농)로 되는 경우이다. 물론 이때 농업부문에 투입하는 자가노동량이 다른 일에 투입하는 양보다 적을 경우에는 농업이 부업으로 되므로 이를 가족농의 범주에 넣기는 어렵다.

가족농은 각각 자가의 농업경영을 자주적·독립적으로 행하며, 노동력, 토지, 각종 자재 등 경영요소의 대부분을 직접 투입하는 자급경제가 상당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와 같이 다액(多額)의 자본재를 준비하는 이유는 자가노동의 효율성을 높이고, 소경영의 한계성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족농 경영의 목표는 자본주의적 경영과 같은 가치증식을 위한 이윤획득이 아니기 때문에 가족생활이 최저수준만이라도 유지되면 경영은 계속되는 강인성을 지닌다. 가족농 경영이 각국에서 가장 보편적 존재로 되어 있는 이유도 이러한 가족농의 강인성 때문이다.→ 겸업농가, 소농경영, 전업농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산업

산업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가족농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