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가뭄

다른 표기 언어 drought 동의어 가물, 한발, 旱魃, 한재, 旱災

요약 오래도록 비가 오지 않는 날씨. 자연재해의 하나로 농업에 큰 피해를 준다.

개요

오래도록 비가 오지 않는 날씨를 일컫는다. 강수량보다 증발이나 증산작용각주1) 의 결과 대기 중으로 빠져나가는 물의 양이 많을 때 발생한다. 농업에 가장 큰 피해를 입히는 자연재해로 물 분포에 심한 불균형을 초래해 농작물 피해, 하천수 감소를 일으키며 지하수 및 토양 내의 습기마저 고갈시킨다. 가뭄 해결을 위해 인공비를 내리려는 시도도 있지만, 성공을 거둔 예는 매우 드물다. 인공비는 구름 속에 드라이아이스 같은 응결핵을 뿌려 인공적으로 비를 내리게 하는 방식이다.

가뭄으로 갈라진 밭

ⓒ bibiphoto/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종류

가뭄에는 4가지 기본형태가 있다.

① 건조기후에 나타나는 영구적인 가뭄:이 경우에는 건조한 기후에 적응한 몇몇 종류의 식물만 자라며, 인위적으로 계속해서 토지에 물을 공급하지 않는 한 농사를 지을 수 없다.

② 건기와 우기가 뚜렷한 기후에서 나타나는 계절적인 가뭄:이러한 지역에서 농사를 제대로 짓기 위해서는 심는 시기를 조절하여 농작물이 우기에 발육하도록 해야 한다.

③ 비정상적으로 강우가 부족하여 생기는 예측불허의 가뭄:이러한 종류의 가뭄은 어떠한 기후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나, 특히 습윤(濕潤)·아습윤(亞濕潤) 기후에서 가장 흔하다. 대개 이러한 가뭄은 짧은 기간 불규칙하게 나타나며,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좁다.

④ 비가시적(非可視的)인 가뭄:이러한 가뭄은 여름에 기온이 높을 때 증발과 증산작용이 활발히 일어남으로써 생긴다.

이 가뭄에서는 소나기가 자주 내려도 증발과 증산작용으로 뺏긴 물의 양을 회복하지는 못한다. 결과적으로 활용할 물의 여유가 없는 현상을 일으켜 농작물의 수확량이 줄어든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다른 백과사전
  • 가뭄 비가 오랫동안 오지 않거나 적게 오는 기간이 지속되는 현상 출처 물백과사전


[Daum백과] 가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