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가릉빈가문

다른 표기 언어 迦陵頻伽紋

요약 불경에서 극락정토에 살면서 묘성으로 설법한다는 상상의 새를 소재로 한 문양의 하나.

가릉빈가는 산스크리트 가라빈가(Kalavinka)를 한역한 것으로 인두조신의 모양을 하고 있다. 즉 머리와 팔은 사람의 모습을 하고, 몸에는 비늘이 있고 새의 날개와 꼬리를 가졌으며, 악기를 연주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중국에서 가릉빈가문이 나타난 것은 한대 이후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 덕흥리의 벽화고분·와당·석탑 등에서 볼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불교가 성행했던 통일신라시대의 쌍봉사절감선사탑과 고려시대 연곡사 동부도·북부도의 안상 안에 주악상의 가릉빈가문이 부조되어 있다.

연곡사 부도

연곡사의 동부도에 새겨진 가릉빈가문, 통일신라, 국보 제53호, 전남 구례군 토지면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불교

불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3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가릉빈가문 / 와당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가릉빈가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