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불경에서 극락정토에 살면서 묘성으로 설법한다는 상상의 새를 소재로 한 문양의 하나.
가릉빈가는 산스크리트 가라빈가(Kalavinka)를 한역한 것으로 인두조신의 모양을 하고 있다. 즉 머리와 팔은 사람의 모습을 하고, 몸에는 비늘이 있고 새의 날개와 꼬리를 가졌으며, 악기를 연주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중국에서 가릉빈가문이 나타난 것은 한대 이후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 덕흥리의 벽화고분·와당·석탑 등에서 볼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불교가 성행했던 통일신라시대의 쌍봉사절감선사탑과 고려시대 연곡사 동부도·북부도의 안상 안에 주악상의 가릉빈가문이 부조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