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영화사전

태흥영화

다른 표기 언어 太興映畵

1983년 이태원이 설립한 영화 제작사. 한국 영화 최초로 칸 국제 영화제 본상인 감독상을 수상한 〈취화선〉(2002)을 배출한 영화사로 널리 알려져 있다. 미군 부대의 군납 업자였던 이태원은 1973년 친구가 운영하던 의정부의 한 극장을 인수하면서 영화계와 인연을 맺게 됐다. 이태원은 특유의 사업 수완으로 경기, 강원 지역의 영화 배급 사업을 벌여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1983년 부도 직전의 태창영화사를 인수해 태흥영화사를 설립하면서 본격적인 영화 제작에 나선다.

1984년 이장호 감독의 〈무릎과 무릎 사이〉를 시작으로 최근 임권택 감독의 〈하류인생〉(2004)까지 태흥영화는 20여 년간 36편의 영화를 만들었다. 〈에이리언〉, 〈다이 하드〉 등의 외화 수입을 통해 태흥영화는 탄탄한 물적 토대를 구축했지만 1988년 할리우드 영화의 직배가 본격화된 후에는 외화 수입을 중단하고 한국 영화 제작에만 몰두했으며 임대 운영하던 단성사를 통해 〈장군의 아들〉(1990), 〈서편제〉(1993) 등 기록적인 흥행작을 내놓았다.

태흥영화는 임권택 감독을 빼놓고는 설명하기 힘들다. 〈아제 아제 바라아제〉(1989)를 시작으로 임권택 감독과 〈장군의 아들〉(1990), 〈장군의 아들 2〉(1991), 〈장군의 아들 3〉(1992), 〈서편제〉(1993), 〈태백산맥〉(1994), 〈축제〉(1996), 〈노는 계집 창〉(1997), 〈춘향뎐〉(2000), 〈취화선〉(2002), 〈하류인생〉(2004) 등 11편의 영화를 만들어 임권택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감독으로 전 세계에 알려지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임권택 감독도 〈장군의 아들〉이나 〈노는 계집 창〉 같은 흥행성이 강한 영화를 연출해 재정적으로 태흥영화에 도움을 주기도 했다. 이태원 대표와 임권택 감독, 정일성 촬영 감독 트리오는 노장 현역 영화인이 적은 한국 영화계에 좋은 모범이 되고 있다.

〈장군의 아들〉 시리즈로 박상민, 신현준, 김승우 등의 신인 배우를 발굴한 태흥영화는 신인 감독 발굴에도 뛰어난 감식안을 보여 줬는데 〈미미와 철수의 청춘스케치〉(1987)의 이규형 감독, 〈개그맨〉(1989)의 이명세 감독, 〈장미빛 인생〉(1994)의 김홍준 감독이 태흥영화를 통해 데뷔했다. 또한 배창호 감독의 〈기쁜 우리 젊은 날〉(1987)과 〈꿈〉(1990), 장선우 감독의 〈경마장 가는 길〉(1991)과 〈화엄경〉(1993) 등 주요 감독의 대표작이 태흥영화에서 제작됐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김광철 집필자 소개

1963년생. 영화 주간지 <FILM2.0>을 비롯해 여러 영화 잡지에서 일했다. 2007년부터 시각문화 전문지 계간 <GRAPHIC> 에디터 겸 발행인으로 활동하고 있으며..펼쳐보기

장병원 집필자 소개

1972년생. 2000~2008년 영화 주간지 <FILM2.0> 기자와 편집장을 지냈다.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명지대학교 영화뮤지컬학부 영화학..펼쳐보기

출처

영화사전
영화사전 | 저자김광철 외 | cp명프로파간다 전체항목 도서 소개

영화의 모든 것. 100여 년간 형성된 영화를 둘러싼 다양한 층위들, 즉 제작, 기술, 개념, 역사, 미학, 산업, 이론 등 광범위한 영역을 포괄하는 용어들을 선별하여..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영화

영화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태흥영화영화사전, 김광철 외, 프로파간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