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근현대 영화
인사전

헨리 폰다

다른 표기 언어 Henry Fonda 동의어 헨리 제인스 폰다, Henry Jaynes Fonda
요약 테이블
출생 1905년 5월 16일
사망 1982년 8월 12일
본명 헨리 제인스 폰다(Henry Jaynes Fonda)
수상 1939년 뉴욕영화비평가협회 남우주연상(<청년 링컨>), 1982년 아카데미 및 골든 글로브 극영화 부문 최우수주연상(<황금연못>)
데뷔 <농부 장가들기>(The Farmer Takes a Wife, 미국, 1935) Victor Fleming 연출

요약 헨리 폰다는 1930년대 후반부터 윌리엄 와일러(William Wyler)의 <제저벨>(Jezebel)을 비롯해서 존 포드(John Ford)의 <청년 링컨>(Young Mr. Lincoln)과 <분노의 포도>(The Grapes of Wrath)에서 주연을 맡음으로써 유명해졌다. 그는 1950년대 중반 <누명쓴 사나이>(The Wrong Man)와 <12명의 성난 사람들>(12 Angry Men)에서 탁월한 연기력을 보여주었다.

헨리 폰다

Henry Fonda

ⓒ wikimedia commons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생애와 이력

미국 영화배우 겸 제작자. 헨리 폰다(Henry Jaynes Fonda)는 1905년 5월 16일 미국 네브라스카 주 그랜드 아일랜드(Grand Island)에서 어머니 엘마(Elma Herberta)와 광고인쇄업계에 종사하는 아버지 윌리엄 브레이스 폰다(William Brace Fonda) 사이에서 태어났다. 헨리 폰다는 오마하 커뮤니티 플레이하우스(Omaha Community Playhouse)에서 도로시 브랜도(Dorothy Brando)가 연출하는 지역 아마추어 극단의 단원으로 일하며 데뷔했다. 이후 그는 케이프 코드 대학(Cape Cod University)에 입학했고, 그다음엔 브로드웨이로 향하게 됐다. 그런 그는 1926년에서 1934년까지 뉴욕에서 연기경력을 쌓는데 집중했다.

폰다가 배우로서 처음 중요한 역을 맡은 것은 브로드웨이의 <뉴 페이스 오브 아메리카>(New Faces of America)와 <농부 장가들기>(The Farmer Takes a Wife)에서였다. 1935년 <농부 장가들기>는 영화로 옮겨졌고, 이를 통해 처음으로 스크린에 등장할 수 있었다. 이후 그는 헨리 해서웨이(Henry Hathaway) 감독의 <트레일 오브 론섬 파인>(The Trail of the Lonesome Pine, 1936)과 명감독 프리츠 랑(Fritz Lang)이 연출한 <단 한번 뿐인 삶>(You Only Live Once, 1937), 그리고 역시 명감독인 윌리엄 와일러(William Wyler) 감독이 연출하고 베티 데이비스(Bette Davis)가 타이틀-롤(title-role)을 맡은 <제저벨>(Jezebel, 1938)에 출연하는 등 데뷔 초반부터 주연을 꿰차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제저벨

Jezebel

그 와중에 폰다는 1936년 프랜시스 세이무어(Frances Seymour Fonda)와 결혼했고 두 명의 아이를 낳았다. 딸 제인 폰다(Jane Fonda)와 아들 피터 폰다(Peter Fonda)는 아버지 폰다를 따라 영화배우가 됐다. 폰다는 제2차 세계대전 중에 해군사병으로 지원했는데, 그곳에서 3년간 USS에서 근무했다. 이후 그는 이러한 군대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1965년 오토 플레밍거(Otto Preminger) 감독의 <인 함스 웨이>(In Harm’s Way, 1965)에서 사령관 역할을 노련하게 해냈고, 이어 1967년 키티호크 항공모함을 방문해 밤을 지새우며 <나, 너 그리고 우리의 것>(Yours, Mine and Ours, 1968)에서 그가 맡은 배역을 준비하기도 했다. 폰다는 1960년 명예의 전당(Walk of Fame)에 입성했고, 1978년 미국영화연구소(American Film Institute)에서 평생공로상(Life Achievement Award)을 수상했다. 미국영화사에 있어 다양한 발자취를 남긴 그는 1982년 8월 12일 로스앤젤레스에서 사망했다.

작품세계

일찍부터 주연 급 배우로 두각을 나타내면서 다양한 배역을 소화해오던 헨리 폰다는 1939년 존 포드 감독의 서부영화 <모호크 족의 북소리>(Drums Along The Mohawk)와 역사영화이자 전기영화인 <청년 링컨>(Young Mr. Lincoln, 1939)에서 잇달아 주연을 맡아 명연기를 선보였다. 특히 그는 <청년 링컨>에서 젊은 시절 변호사였던 링컨 역을 실감나게 재현함으로써 1939년 뉴욕영화비평가협회(New York Film Critics Circle Awards)에서 최우수주연상을 받았다. 이어서 폰다는 역시 존 포드 감독의 대표작 중 하나인 <분노의 포도>(The Grapes Of Wrath, 1940)라는 사회파 영화에 출연했다. 존 스타인벡(John Steinbeck)의 동명의 원작소설을 바탕으로 하여 경제공황기 미국 노동자 및 농민들이 처했던 비참한 현실을 고발한 <분노의 포도>에서 폰다는 주인공 톰 조드(Tom Joad) 역을 맡아 열연했다. 이 작품으로 폰다는 그해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남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

분노의 포도

The Grapes of Wrath

ⓒ flickr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계속해서 작업을 이어가던 폰다는 1941년 프레스턴 스터지스(Preston Sturges) 감독의 <요조숙녀>(The Lady Eve)에서 바브라 스탠윅(Barbara Stanwyck)과 함께 주연으로 출연했다. 이 영화는 고전적인 로맨틱 코미디로 폰다는 엄청난 부를 상속받게 되는 인물 찰스(Charles)를 연기했다. 부유하여 특히 많은 여성들이 그를 주목했지만 정작 그는 순진하고 사기를 잘 당하는 등 엉뚱한 매력이 있었다. 폰다는 그 독특한 캐릭터를 재미있게 잘 연기하여 좋은 평을 받았다. 이후 폰다는 1942년 코미디이자 드라마인 <운명의 향연>(Tales Of Manhattan)에 조연으로 출연했다. 이와 함께 그는 윌리엄 웰먼(William A. Wellman) 감독의 <옥스보우 인서던트>(The Ox-Bow Incident, 1943)라는 또 다른 서부영화에 주연으로 출연했다. 폰다는 이 영화를 찍은 후, 제2차 세계대전 중에 해군사병으로 지원했다.

폰다는 1946년에 다시금 존 포드와 작업했는데, 그것은 <황야의 결투>(My Darling Clementine)라는 서부영화였다. 이 영화에서 폰다는 전직 보안관이었다가 자신의 동생이 죽고 팔려고 했던 소 떼마저 사라지게 된 이후, 지나가던 마을에서 다시금 보안관이 되는 전설적인 인물 와이어트(Wyatt)를 연기했다. 이 작품 이후에는 멕시코의 한 신부(神父)를 연기했던 <도망자>(The Fugitive, 1947)와 존 웨인과 함께 출연했던 존 포드 감독의 <아파치 요새>(Fort Apache, 1948)에 참여했다. <아파치 요새>에서 폰다는 냉철한 육군 중령을 맡아서 존 웨인과 대립각을 세우는 비우호적인 인물을 연기했다.

요조숙녀

The Lady Eve

<메달리언 극장>(Medallion Theatre, 1953) 등의 TV 시리즈물에 출연하면서 숨을 고르던 폰다는 다소 코믹한 분위기의 전쟁영화 <미스터 로버츠>(Mister Roberts, 1955)에 출연하면서 새로운 연기인생을 펼친다. 존 포드와 머빈 르로이(Mervyn LeRoy) 감독이 공동으로 연출한 이 작품은 제2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태평양을 가로지르는 수송선(輸送船)에서 벌어지는 전쟁 아닌 전쟁을 담았다. 폰다는 독선적인 선장에게 불만이 많은 나머지 동료와 함께 그에 대항하는 선원 로버츠(Roberts)를 연기했다. 이후 폰다는 명감독 킹 비더(King Vidor)가 연출하고 오드리 헵번(Audrey Hepburn)이 주연을 맡은 <전쟁과 평화>(War And Peace, 1956)에 역시 주연으로 출연했다. 폰다는 이 영화에서 나폴레옹 주도의 프랑스군에게 공격받게 된 러시아의 귀족인 삐에르(Pierre)를 연기했다.

이후 폰다는 범죄 스릴러 영화로 유명한 앨프레드 히치콕(Alfred Hitchcock) 감독의 <누명을 쓴 사나이>(The Wrong Man, 1956)에 출연했다. 이 작품에서 그는 범죄자로 누명을 쓰게 된 남자를 연기했다. 당시 시대상을 반영한 사실주의적인 작품이었는데, 폰다는 누명에서 벋어나지 못해 고뇌하는 한 인물의 모습을 대단히 인상적으로 연기했다. 다음해인 1957년 폰다는 시드니 루멧(Sidney Lumet) 감독의 대표적인 법정영화인 <12명의 성난 사람들>(12 Angry Men, 1957)에서 주연을 맡아서 이번에는 용의자가 아닌 배심원 역을 맡았다. 이 영화에서 폰다는 아버지를 살해했다는 혐의로 범정에 선 소년에게 모든 배심원들이 유죄를 주장할 때 의연하게 무죄를 주장하는 소수파 배심원을 연기했다. 특히 폰다는 꼼꼼하고 지적인 배심원을 잘 연기해 극의 완성도를 높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는 이 영화로 1958년 영국아카데미(BAFTA Awards)에서 최우수 외국배우상(Best Foreign Actor)을 수상했다.

서부 개척사

How the West Was Won

1960년대 이르러서도 다양한 작품에 참여한 폰다는 또 다른 서부영화인 <서부 개척사>(How The West Was Won, 1962)와 존 웨인, 로버트 미첨(Robert Mitchum) 등이 출연한 전쟁영화 <지상 최대의 작전>(The Longest Day, 1962)에 출연하여 좋은 연기를 선보였다. 또한 폰다는 1965년에 <지상 최대의 작전>의 후속편격인 역시 켄 아나킨(Ken Annakin) 감독의 <발지 대전투>(Battle of the Bulge, 1965)에 출연하여 독일의 대규모 기갑사단에 맞서 고군분투하는 장교 역을 맡아 열연했다. 이와 함께 1968년에는 <형사 마디간>(Madigan)에서 경찰국장 역을 맡기도 했다. 이 작품은 경찰에 관한 영화들을 잘 만들었던 돈 시겔(Don Siegel) 감독의 대표작들 중 하나인데, 폰다의 중후한 연기가 빛을 발한 작품이었다. 같은 해 폰다는 또 다른 서부영화의 고전(古典)이자 이탈리아식 서부영화의 걸작이기도 한 세르지오 레오네(Sergio Leone) 감독의 <옛날 옛적 서부에서>(Once Upon A Time In The West, 1968)에 출연했다. 여기서 폰다는 냉혈한 악당인 프랭크(Frank)를 연기했다. 프랭크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한 가족을 몰살하고 남은 부인을 유혹하는 등 악질이었는데, 폰다는 악역을 인상적으로 연기했다.

폰다의 연기활동은 1970년대에 이르러서도 계속되었는데, 서부영화 <비뚤어진 사람>(There Was A Crooked Man..., 1970)과 역시 서부영화인 <무숙자>(My Name Is Nobody, 1973)에 잇달아 출연했다. 이와 함께 그는 <미드웨이>(Midway, 1976), <배틀 포스>(Battle Force, 1977) 등과 같은 전쟁영화와 <홀리데이 킬러>(Tentacles, 1977)라는 공포, 스릴러물에도 나왔다. 1980년대 들어 그는 캐서린 헵번(Katharine Hepburn)과 함께 <황금연못>(On Golden Pond, 1981)이라는 극영화에서 노부부를 연기하기도 했다. 이 작품에서 폰다는 오랜 기간 반목하던 딸과 화해하는 아버지를 연기하기도 했는데, 실제 딸 제인 폰다와 갈등이 있었던 그가 화해하는 모습이 담겨있는 작품이기도 했다. 그는 이 영화로 1981년 뉴욕영화비평가협회(New York Film Critics Circle Awards)에서 최우수주연상을 수상한 것을 필두로 하여, 1982년 아카데미(Academy Awards)와 골든 글로브(Golden Globes) 극영화 부문에서 최우수주연상을 잇달아 수상하면서 노익장(老益壯)을 과시했다.

영화사적 평가

헨리 폰다는 생애 통산 120여 편의 영화에 출연했다. 폰다는 개인적으로 <청년 링컨>에서 맡은 링컨 역과 <분노의 포도>에서 맡은 톰 조드 역을 가장 기억에 남는 배역(配役)이라고 말한 적이 있는데, 영화사적으로 이 두 작품은 걸작의 목록에 올라있기도 하다. 특히 <청년 링컨>은 개봉 당시 비평적으로 별다른 주목을 끌지 못했고, 흥행적으로도 겨우 실패를 면한 수준이었는데, 후에 태그 갤러거(Tag Gallagher) 같은 존 포드 전문가들이 이 작품에 주목하면서 전후 포드의 걸작중 하나로 자리매김 됐다. 폰다는 1930년대 후반부터 존 포드 감독의 <모호크족의 북소리>(Drums Along the Mohawk)와 <황야의 결투>(My Darling Clementine) 같은 서부영화들에 출연하면서 인상적인 연기를 펼쳤다.

폰다는 또한 <요조숙녀>(The Lady Eve)와 <그녀의 반지>(Rings on Her Fingers) 등의 코미디 영화에서도 친화력 있는 연기를 보여주었다. 그는 <12명의 성난 사람들>(12 Angry Men)에서는 정의를 추구하는 의협심 넘치는 시민 배심원을 맡아 열연을 했다. 그는 <미스터 로버츠>(Mister Roberts)와 <발지 대전투>(Battle of the Bulge) 등의 전쟁영화들에서 인간미 넘치는 군인 역을 맡기도 했다. 이렇게 다양한 작품들에서 연기했던 폰다는 능숙한 연기만이 아닌 파란 눈과 서부영화에서 보였던 독특한 걸음걸이 등으로도 유명했다. 영화평론가 김시무에 따르면, "헨리 폰다는 주로 강인하고 영웅적인 인물을 연기했고, 평화와 정의를 추구하는 인물로 자주 나왔다"고 평가한다. 결국 폰다는 1997년 영국『엠파이어』(Empire) 잡지에서 ‘최고의 영화배우 100명’의 리스트에 올랐고, 그가 76세일 때에 오스카 최고 연기상을 받은 최고령 배우가 되기도 했다.

작품목록

<농부 장가들기>(The Farmer Takes a Wife, 미국, 1935) Victor Fleming 연출
<웨이 다운 이스트>(Way Down East, 미국, 1935) Henry King 연출
<아이 드림 투 머치>(I Dream Too Much, 미국, 1935) John Cromwell 연출
<트레일 오브 론섬 파인>(The Trail of the Lonesome Pine, 미국, 1936) Henry Hathaway 연출
<더 문 아워 홈>(The Moon’s Our Home, 미국, 1936) William A. Seiter 연출
<방탕아>(Spendthrift, 미국, 1936) Raoul Walsh 연출
<윙즈 오브 더 모닝>(Wings of the Morning, 영국, 1937) Harold D. Schuster, Glenn Tryon 공동연출
<단 한번 뿐인 삶>(You Only Live Once, 미국, 1937) Fritz Lang 연출
<슬림>(Slim, 미국, 1937) Ray Enright 연출
<확실한 여자>(That Certain Woman, 미국, 1937) Edmund Goulding 연출
Breakdowns of 1938, 미국, 1938, 단편)
<첫사랑의 재회>(I Met My Love Again, 미국, 1938) Joshua Logan, Arthur Ripley 공동연출
<제저벨>(Jezebel, 미국, 1938) William Wyler 연출
<봉쇄명령>(Blockade, 1938) William Dieterle 연출
<스폰 오브 더 노쓰>(Spawn of the North, 미국, 1938) Henry Hathaway 연출
<고약한 맨튼양>(The Mad Miss Manton, 미국, 1938) Leigh Jason 연출
<무법자 제시 제임스>(Jesse James, 미국, 1939) Henry King, Irving Cummings 공동연출
<렛 어스 리브>(Let Us Live, 미국, 1939) John Brahm 연출
<그레햄 벨의 이야기>(The Story of Alexander Graham Bell, 미국, 1939) Irving Cummings 연출
<청년 링컨>(Young Mr. Lincoln, 미국, 1939) John Ford 연출
<모호크족의 북소리>(Drums Along the Mohawk, 미국, 1939) John Ford 연출
<분노의 포도>(The Grapes of Wrath, 미국, 1940) John Ford 연출
<릴리언 러셀>(Lillian Russell, 미국, 1940) Irving Cummings 연출
<프랭크 제임스의 귀환>(The Return of Frank James, 미국, 1940) Fritz Lang 연출
<채드 한나>(Chad Hanna, 미국, 1940) Henry King 연출

무법자 제시 제임스

Jesse James

<요조숙녀>(The Lady Eve, 미국, 1941) Preston Sturges 연출
<와일드 기즈 콜링>(Wild Geese Calling, 미국, 1941) John Brahm 연출
<당신은 나의 것>(You Belong to Me, 미국, 1941) Wesley Ruggles 연출
<수컷>(The Male Animal, 미국, 1942) Elliott Nugent 연출
<그녀의 반지>(Rings on Her Fingers, 미국, 1942) Rouben Mamoulian 연출
<더 매그니피션트 돕>(The Magnificent Dope, 미국, 1942) Walter Lang 연출
<운명의 향연>(Tales of Manhattan, 미국, 1942) Julien Duvivier 연출
<빅 스트리트>(The Big Street, 미국, 1942) Irving Reis 연출
<우리 모두의 전쟁>(It's Everybody's War, 미국, 1942, 단편) Will Price 연출
<불멸의 상사>(Immortal Sergeant, 미국, 1943) John M. Stahl 연출
<옥스보우 인시던트>(The Ox-Bow Incident, 미국, 1943) William A. Wellman 연출
<황야의 결투>(My Darling Clementine, 미국, 1946) John Ford 연출
<기나긴 밤>(The Long Night, 미국, 1947) Anatole Litvak 연출
<도망자>(The Fugitive, 미국/멕시코, 1947) John Ford, Emilio Fernández 공동연출
<데이지 케넌>(Daisy Kenyon, 미국, 1947) Otto Preminger 연출
<온 아워 메리 웨이>(On Our Merry Way, 미국, 1948) Leslie Fenton, King Vidor 등 공동연출
<아파치 요새>(Fort Apache, 미국, 1948) John Ford 연출
<퍼즐>(Jigsaw, 미국, 1949) Fletcher Markle 연출
<벤지>(Benjy, 미국, 1951, 단편) Fred Zinnemann 연출
<메달리언 극장>(Medallion Theatre: The Decision at Arrowsmith, 미국, 1953, TV 시리즈) Ralph Nelson 연출
<메인 스트리트 투 브로드웨이>(Main Street to Broadway, 미국, 1953) Tay Garnett 연출
<제너럴 일렉트릭 극장: 어릿광대>(General Electric Theater: The Clown, 미국, 1955, TV 시리즈) James Neilson 연출
<제작자의 쇼케이스: 화석의 숲>(Producers’ Showcase: The Petrified Forest, 미국, 1955, TV 시리즈) Delbert Mann 연출
<미스터 로버츠>(Mister Roberts, 미국, 1955) John Ford, Mervyn LeRoy 공동연출
<전쟁과 평화>(War and Peace, 미국/이태리, 1956) King Vidor 연출
<누명쓴 사나이>(The Wrong Man, 미국, 1956) Alfred Hitchcock 연출
<12명의 성난 사람들>(12 Angry Men, 미국, 1957) Sidney Lumet 연출
<가슴에 빛나는 별>(The Tin Star, 미국, 1957) Anthony Mann 연출
<옐로스톤의 레인저>(Rangers of Yellowstone, 미국, 1958, 단편)
<스테이지 스트럭>(Stage Struck, 미국, 1958) Sidney Lumet 연출
<워록>(Warlock, 미국, 1959) Edward Dmytryk 연출
<그 여자를 사랑한 남자>(The Man Who Understood Women, 미국, 1959) Nunnally Johnson 연출
<보안관>(The Deputy, 미국, 1959-1961, TV 시리즈)
<샌프란시스코 대화재>(San Francisco Fire, 미국, 1962, 단편) Charles Eames, Ray Eames 공동연출
<워싱턴 정가>(Advise & Consent, 미국, 1962) Otto Preminger 연출
<지상 최대의 작전>(The Longest Day, 미국, 1962) Ken Annakin, Andrew Marton 등 공동연출
<서부 개척사>(How the West Was Won, 미국, 1962) John Ford, Henry Hathaway 등 공동연출
<좋은 시절들>(The Good Years, 미국, 1962) Franklin J. Schaffner 연출
<딕 파월 쇼>(The Dick Powell Show: Tissue of Hate, 미국, 1963, TV 시리즈) Marc Daniels 연출
<스펜서의 산>(Spencer’s Mountain, 미국, 1963) Delmer Daves 연출
<베스트 맨>(The Best Man, 미국, 1964) Franklin J. Schaffner 연출
<핵전략 사령부>(Fail-Safe, 미국, 1964) Sidney Lumet 연출
<사랑 그리고 독신녀>(Sex and the Single Girl, 미국, 1964) Richard Quine 연출
<더 라운더즈>(The Rounders, 미국, 1965) Burt Kennedy 연출
<인 함스 웨이>(In Harm’s Way, 미국, 1965) Otto Preminger 연출
<더티 게임>(The Dirty Game, 미국/서독/프랑스/이태리, 1965) Christian-Jaque, Werner Klingler 등 공동연출
<발지 대전투>(Battle of the Bulge, 미국, 1965) Ken Annakin 연출
<작은 여인의 큰 손>(A Big Hand for the Little Lady, 미국, 1966) Fielder Cook 연출
<웰컴 투 하드 타임>(Welcome to Hard Times, 미국, 1967) Burt Kennedy 연출
<분주한 이방인>(Stranger on the Run, 미국, 1967, TV 영화) Don Siegel 연출
<파이어크릭>(Firecreek, 미국, 1968) Vincent McEveety 연출

스미스 가족

The Smith Family

ⓒ wikimedia commons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형사 마디간>(Madigan, 미국, 1968) Don Siegel 연출
<나, 너 그리고 우리의 것>(Yours, Mine and Ours, 미국, 1968) Melville Shavelson 연출
<보스턴 교살자>(The Boston Strangler, 미국, 1968) Richard Fleischer 연출
<팻 폴슨 포 프레지던트>(Pat Paulsen for President, 미국, 1968, TV 영화)
<옛날 옛적 서부에서>(Once Upon a Time in the West, 이태리/미국/스페인, 1968) Sergio Leone 연출
<빌 코스비 쇼>(The Bill Cosby Show: The Elevator Doesn't Stop Here Anymore, 미국, 1970, TV 시리즈) Coby Ruskin 연출
<팻 폴슨의 코미디 아워>(Pat Paulsen's Half a Comedy Hour, 미국, 1970, TV 시리즈)
<태평양의 영웅들>(Too Late the Hero, 미국, 1970) Robert Aldrich 연출
<샤이엔 소셜 클럽>(The Cheyenne Social Club, 미국, 1970) Gene Kelly 연출
<비뚤어진 사람>(There Was A Crooked Man, 미국, 1970) Joseph L. Mankiewicz 연출
<안녕>(Howdy, 미국,1970, TV 영화) Seymour Berns 연출
<스탬퍼가의 대결>(Sometimes a Great Notion, 미국, 1971) Paul Newman 연출
<도리스 데이 쇼>(The Doris Day Show: Doris Goes to Hollywood, 미국, 1971, TV 시리즈) William Wiard 연출
<스미스 가족>(The Smith Family, 미국, 1971-1972, TV 시리즈)
<레드 포니>(The Red Pony, 미국, 1973, TV 영화) Robert Totten 연출
<뱀>(Le serpent, 프랑스/이태리/서독, 1973) Henri Verneuil 연출
<알파 케이퍼>(The Alpha Caper, 미국, 1973, TV 영화) Robert Michael Lewis 연출
<잿빛 수요일>(Ash Wednesday, 미국, 1973) Larry Peerce 연출
<무숙자>(Il mio nome e Nessuno, 또는 My Name Is Nobody, 이태리/프랑스/서독, 1973) Tonino Valerii 연출
<무솔리니: 최후의 4일>(Mussolini ultimo atto, 이태리, 1974) Carlo Lizzani 연출
<클러렌스 데로우>(Clarence Darrow, 미국, 1974, TV 영화) John Rich 연출
<아메리칸 퍼레이드>(The American Parade, 미국, 1975, TV 미니-시리즈) Vern Diamond 연출
<충돌: 트루먼 대(對) 맥아더>(Collision Course: Truman vs. MacArthur, 미국, 1976, TV 영화) Anthony Page 연출
<미드웨이>(Midway, 미국, 1976) Jack Smight 연출
<캡틴과 킹>(Captains and the Kings, 미국, 1976, TV 미니-시리즈)
<홀리데이 킬러>(Tentacles, 이태리/미국, 1977) Ovidio G. Assonitis 연출
<최후의 카우보이>(The Last of the Cowboys, 미국, 1977) John Leone 연출
<위험한 열차>(Rollercoaster, 미국, 1977) James Goldstone 연출
<병사의 고향>(Soldier’s Home, 미국, 1977, TV 단편) Robert Young 연출
<배틀 포스>(Il grande attacco, 또는 Battle Force, 이태리/서독/유고슬라비아, 1978) Umberto Lenzi 연출
<홈 투 스테이>(Home to Stay, 캐나다/미국, 1978, TV 영화) Delbert Mann 연출
<페도라>(Fedora, 프랑스/서독, 1978) Billy Wilder 연출
<스윔>(The Swarm, 미국, 1978) Irwin Allen 연출
<뿌리: 그 다음 세대>(Roots: The Next Generations, 미국, 1979, TV 미니-시리즈)
<시티 온 파이어>(City on Fire, 캐나다/미국, 1979) Alvin Rakoff 연출
<완다 네바다>(Wanda Nevada, 미국, 1979) Peter Fonda 연출
<유성>(Meteor, 미국/홍콩, 1979) Ronald Neame 연출
<패밀리>(Family: Thanksgiving, 미국, 1979, TV 시리즈) Joanne Woodward 연출
<나이든 대학 졸업자>(The Oldest Living Graduate, 미국, 1980, TV 영화) Jack Hofsiss 연출
<기드온의 트럼펫>(Gideon’s Trumpet, 미국, 1980, TV 영화) Robert L. Collins 연출
<웨더럴 할머니의 남자 차버리기>(The Jilting of Granny Weatherall, 미국, 1980, TV 영화) Randa Haines 연출
<황금연못>(On Golden Pond, 미국/영국, 1981) Mark Rydell 연출
<하지>(Summer Solstice, 미국, 1981, TV 영화) Ralph Rosenblum 연출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근현대 영화인사전 | 저자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 cp명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전체항목 도서 소개

이 사전은 전 세계 영화인들을 대상으로 한 인명사전으로, 온라인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작성되었다. 본 사전의 표제어는 1) 한국권 (북한 포함), 2) 영..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2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제저벨


[Daum백과] 헨리 폰다근현대 영화인사전,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