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958년, 투르크메니스탄 아슈하바트(Ashkhabad) |
---|---|
데뷔 | <준마의 약탈>(Horse of The Steppe, 1979, 배우) |
요약 케림 안나노프는 투르크메니스탄의 배우이자 영화감독이다. 역사적 영웅이나 신화적 인물을 연기해 1980년대 투르크메니스탄의 스타 배우로 활동했으며 1990년대에는 연출작을 발표했다. 자신의 부친을 기리며 제작한 <로바야트>(The Legend, 1999)로 호평을 받았다.
생애와 데뷔
케림 안나노프는 1958년 투르크메니스탄 아슈하바트(Ashkhabad)에서 유명 배우 바바 안나노프(Baba Annanov)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투르크메니스탄 대학에서 문헌학을 전공했지만, 학창시절에 이미 영화계에 발을 들였다. 1979년 부친과 함께 할마메트 카카바예프(Khalmamed Kakabayev) 감독의 대표작 <준마의 약탈>(Horse of The Steppe, 1979)에서 말을 사수하는 일원으로 출연하면서 배우로 정식 데뷔했다. 이듬해에는 부친의 연출작 <카이라트의 비둘기>(Pigeons live in karite, 1980)에 출연했으며, 1920년대 볼셰비키 혁명을 저지하기 위해 전략적 요충지를 지키려는 사람들 이야기 <요새>(Bastion, 1983)에서 첫 주연을 맡아 호평을 얻었다. 이후 그는 스타배우로 여러 편의 영화에 출연했다. 그러나 이렇게 활발히 활동하던 그는 본격적인 영화공부를 위해 모스크바로 갔고, 1987년까지 모스크바국립영화학교(VGIK, Moscow State Film Institute)에서 연출을 공부했다.
작품세계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돌아온 안나노프는 배우로서 한층 성장한 모습을 보여줌과 동시에 감독으로도 데뷔했다. VGIK로 가기 전 호자쿨리 나를리예프(Khodzhakuli Narliyev) 감독의 <살상-행복으로부터의 이탈>(Frags-Separated with happiness, 1984)에 출연했던 것이 인연이 되어, 안나노프는 영화 복귀작으로 나를리예프 감독의 <만쿠르트>(Mankurt, 1990)를 선택했다. 이 영화는 전쟁포로로 끌려간 소년이 늑대처럼 길러져 노예 노동자(만쿠르트)가 된다는 중앙아시아 설화를 바탕으로, 소연방 체제 하의 중앙아시아 현실과 민족 정체성 문제를 제기한 작품이다. 이 영화에서 안나노프는 기억을 잃고 만쿠르트가 되어 자신을 찾아 헤맨 어머니마저 살해하는 비극적 주인공을 연기했다.
이 시기 그는 연출가로의 행보도 시작했는데, 빈민가 사람들의 일상을 포착한 단편다큐멘터리 <싱가포르+18도>(A Singapore+18°C, 1989), 전쟁 후 집으로 돌아온 남자가 아들의 사망소식을 듣고 복수심에 괴로워한다는 내용의 단편 <암컷 늑대>(Female Wolves, 1990)를 만들면서 연출력을 키웠다. 1991년에 개인스튜디오 ‘투란 필름’(Turan-film)을 세운 그는 이듬해 부친과의 협업으로 첫 장편 연출작 <조흐레와 타히르>(Zohreh and Tahir, 1992)를 발표했다.
그러나 당시 독립 투르크메니스탄 정부는 서양문화 배척의 일환으로 영화산업을 억제하기 시작했다. 때문에 그는 많은 영화를 만들 수 없었다. 게다가 영화적 스승이자 동반자였던 부친이 사망하자 안나노프는 투란 필름에서 마지막 35mm 영화 <로바야트>(The Legend, 1999)를 기획했다. 여덟 명의 자식들에게 각각 농부, 석공, 사냥꾼 등의 역할을 정해주며 전쟁을 멈추고 평화로운 삶을 살기를 요구하는 아버지를 이솝 우화 형식으로 풀어낸 이 영화는 안나노프가 자신의 부친 바바 안나노프의 일생을 떠올리며 만든 작품이었다. 그는 시나리오 집필과 연출뿐만 아니라 주인공인 아버지 역할로 출연해 부친을 기렸다. 이 영화는 우화처럼 만들어졌지만 당시 중앙아시아의 사회·정치적 변화를 직접적으로 반영했고, 기존의 영화에 비해 기술적으로도 한 단계 진보를 이룬 작품으로 평가받았다.
투르크메니스탄에서 영화제작이 전면 금지되어 <로바야트> 이후 10여년간 영화를 만들 수 없었던 그는 최근 영화제작이 다시 허용되자 <가을>(Autumn, 2009), <은하수>(Milky Way, 2010) 등의 연출작을 발표하고 있다.
작품목록
<준마의 약탈>(Pokhischeniye Skakuna, Horse of The Steppe, 소비에트연방, 1979, 배우)
<카이라트의 비둘기>(Golnky shivnt v kyarizakh, Pigeons live in karite, 소비에트연방, 1980, 배우)
<요새>(Bastion, 소비에트연방, 1983, 배우)
<짧은 소매>(Short Sleeve, 소비에트연방, 1984, 배우)
<무거운 짐>(Heavy Burden, 소비에트연방, 1984, 배우)
<살상-행복으로부터의 이탈>(Fragi-Razluchyonnyy so schastyem, Frags-Separated with happiness, 소비에트연방, 1984, 배우)
<세레브리스타냐 나이트>(Serebristaya nit, 소비에트연방, 1986, TV영화, 배우)
<마법구슬 이야기>(Skazka o volshebnom bisere, The Tale of the Magic Beads, 소비에트연방, 1988, TV영화, 배우)
<싱가포르18도>(A Singapore18°C, 소비에트연방, 1989, 단편다큐멘터리, 감독)
<만쿠르트>(Mankurt, 소비에트연방/터키, 1990, 배우)
<무스 카우>(Muskau, 투르크메니스탄, 1990, 배우)
<암컷 늑대>(Female Wolves, 투르크메니스탄, 1990, 단편, 감독)
<조흐레와 타히르>(Zohreh and Tahir, 투르크메니스탄, 1992, 감독/각본)
<회개>(Repentance, 투르크메니스탄, 1996, 배우)
<로바야트>(Rovayat, The Legend, 투르크메니스탄, 1999, 감독/각본/배우)
<가을>(Autumn, 투르크메니스탄, 2009, 감독)
<은하수>(Milky Way, 투르크메니스탄, 2010, 감독)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Cinema in Central Asia: Rewriting Cultural Hist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