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근현대 영화
인사전

무라트 알리예프

다른 표기 언어 Murad Alieve
요약 테이블
출생 1951년, 아슈하바트(Ashkhabad)
데뷔 <올림포스로 가는 길>(The Road to Olympus, 소비에트연방, 1977, 다큐멘터리)

요약 무라트 알리예프는 투르크메니스탄의 영화감독이자 배우다. 1970~80년대 연출한 여러편의 다큐멘터리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우여곡절 끝에 <대지진의 밤>(Children of the Earthquake, 2004)을 완성해 정치적인 이유로 발전하지 못하고 있는 투르크메니스탄 영화계의 단면을 보여준 감독으로 평가받고 있다.

무라트 알리예프

Murad Alieve

ⓒ http://movie.daum.net/person/photoviewer?id=115578#193076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큐멘터리로 영화계 입문

무라트 알리예프는 1951년 아슈하바트(Ashkhabad)에서 태어났다. 1977년 모스크바국립영화학교(VGIK)를 졸업했으며 1991년까지 투르크메니스탄 스튜디오에서 다큐멘터리 감독으로 활동했다. 이 시기 그의 다큐멘터리는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지난 이야기>(The Story of a path, 1986)는 1987년 오버하우젠단편영화제에서 대상을 수상한 것을 비롯해 모스크바와 부다페스트 영화제 등에서도 호평을 받았고, 이듬해 발표한 <아우라>(Aura, 1987)는 마약산업과 마약마피아 집단, 그리고 약물에 중독된 사람들을 소재로 다루어 소연방에서는 상영금지 되었지만 1989년 베를린단편영화제에 초청되어 해외 평단의 주목을 받았다. 당시 제작되었던 체제비판적 다큐멘터리는 대부분 정부에 의해 소각되었는데 <아우라>는 이 중 남겨진 극소수의 작품 중 하나로 최근까지 당대 사회상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알리예프는 <올림포스로 가는 길>(The Road to Olympus, 1977), <마툼쿨리>(Mahtumkuli, 1979), <펠만>(Palvan, 1985) 등 여러 편의 다큐멘터리를 만들며 왕성하게 활동했다.

<대지진의 밤>

<대지진의 밤>

The Night Of The Yellow Bull, 2004

ⓒ http://movie.daum.net/moviedb/photoviewer?id=45893#193075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1991년 그는 누르사이 텔레비전 센터(Nusai center)에서 일했으며, 1993년에는 투르크메니스탄 영화사(Cinema and Video Company of Turkmenistan)의 대표직을 역임했다. 1990년대 초반까지 투르크메니스탄은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활발하게 영화가 제작되던 곳이다. 영화제와 각종 세미나가 열렸고,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여러 작품들이 만들어졌으며 소연방 해체 후에도 많은 감독들이 사회문제와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런 와중에 니야조프(Saparmurat Niyazov) 정권은 영화금지정책을 펼치기 시작해 영화인들의 반발이 일어났다. 알리예프의 대표작 중 하나인 <대지진의 밤>(The Night Of The Yellow Bull)은 이런 상황에서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대지진의 밤>은 1996년 투르크멘필름이 완전히 문을 닫는 등 자국 내 영화제작이 전면 금지되면서 미완으로 남게 되었다. 그리고 알리예프는 호자쿨리 나를리예프(Khodzhakuli Narliyev), 우스만 사파로프(Uzmaan Saparov) 등 여타 감독들과 마찬가지로 투르크메니스탄을 떠나 모스크바로 이주했다. 러시아에서 그는 2001년부터 다큐멘터리 감독으로 활동을 시작했고, 2004년에 미완이었던 <대지진의 밤>을 완성했다.

<대지진의 밤>은 지진으로 하룻밤에 가족을 모두 잃게 된 소년의 성장드라마로, 성인이 된 주인공이 과거를 회상하는 형식의 영화다. 1948년에 일어났던 투르크메니스탄 대지진을 배경으로 한 이 영화는 소비에트대백과사전에 언급된 1950년대의 처참한 상황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흑백 영상과 다큐멘터리 기법을 동원했다. 극이 전개되면서 영화는 지진의 비극뿐만 아니라 억압과 통제가 만연했던 스탈린 시대를 비판하는 것으로 나아가고, 1990년대의 일상을 반추하며 투르크메니스탄 현대사를 관통한다. <대지진의 밤>은 투르크메니스탄의 현대사를 다룬 것과 더불어 1996년 이후 더 이상 만들어지지 못하고 있는 투르크메니스탄 영화의 명맥을 잇는 작품으로 많은 주목을 받았다.

러시아에서의 활동

알리예프는 이후 러시아에서 여러 편의 영화와 TV시리즈를 만들었다. 과거 다큐멘터리 작가로 이름을 알렸던 것과는 달리 러시아에서 그는 대부분 현대사를 배경으로 한 장르영화를 만들었다. 포로가 되어 국제적인 마약운반에 가담하게 된 남자이야기 <화이트 샌드>(White sand, 2011), 전설적인 해군정예부대의 두 친구가 전장에서 나누는 우정을 그린 <마린스>(Marines, 2011), 페레스트로이카 혁명기에 생존을 위해 싸워야했던 전직 복싱선수와 그의 제자를 다룬 <맨 오브 스틸>(Men of Steel, 2004~2005), 동료가 암살된 사건의 증거를 찾으려는 전직경찰관의 이야기인 <주요 증거>(Main Evidence, 2008) 등 대부분 전쟁, 액션, 범죄물이었다. 러시아에서 최근까지 TV와 영화를 넘나들며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무라트 알리예프는 정치적인 이유로 발전하지 못하고 있는 투르크메니스탄 영화계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감독이다.

작품목록

<사니코프 랜드>(Sannikov Land, 소비에트연방, 1973, 배우)
<오프비트>(Offbeat, 소비에트연방, 1979, 배우)
<올림포스로 가는 길>(The Road to Olympus, 소비에트연방, 1977, 다큐멘터리)
<마툼쿨리>(Mahtumkuli, 소비에트연방, 1979, 다큐멘터리)
<탄생>(Rozhdenie, 소비에트연방, 1979, 다큐멘터리)
<붉은 계급>(The Red Echelon, 소비에트연방, 1980, 다큐멘터리)
<에튀드 옵 엑트에레>(Etyud Ob Aktyere, 소비에트연방, 1981 다큐멘터리)
<생명의 길과 미래>(Doroga V Zavtra, 소비에트연방, 1984, 다큐멘터리)
<펠만>(Palvan, 소비에트연방, 1985, 다큐멘터리)
<경마이야기>(The Story of a Horse Race, 소비에트연방, 1986, 다큐멘터리)
<지난 이야기>(The Story of a path, 소비에트연방, 1986, 다큐멘터리)
<카라쿰 리포트>(Karakum report, 소비에트연방, 1986, 배우)
<아우라>(Aura, 소비에트연방, 1987, 다큐멘터리)
<벨벳 시즌>(Velvet Season, 소비에트연방, 1988, 다큐멘터리)
<더 센시>(The Cenci, 소비에트연방, 1991, 단편)
<카라반의 죽음>(Caravan of Death, 소비에트연방, 1991, 배우)
<오크할마노프>(Okhlamanov, 투르크메니스탄, 1993, 프로듀서)
<치토비 비체트>(Chtoby vyzhit, 투르크메니스탄, 1993, 배우)
<생존>(In order to survive, 투르크메니스탄, 1993, 배우)
<위안>(Ermak, 투르크메니스탄, 1996, 배우)
<위대한 가을의 아이들>(The Children of great August, 러시아, 2001, 다큐멘터리)
<경계>(Border, 러시아, 2002, TV다큐멘터리)
<그룹 A의 탄생>(a Group A , 러시아, 2002, TV다큐멘터리)
<확장과 입증>(Expand and prove, 러시아, 2003, TV다큐멘터리)
<대지진의 밤>(Children of the Earthquake, The Night of Yellow Bull, 투르크메니스탄/러시아, 2004)
<블랙 샌드의 비밀>(Secrets of Black Sand, 러시아, 2004, 다큐멘터리)
<빔펠. 비밀목표의 탐험>(Vympel. Exploration of special purpose, 러시아, 2004, TV다큐멘터리)
<맨 오브 스틸>(Men of Steel, 러시아, 2004~2005, TV시리즈)
<제국의 마지막 군인>(Last Soldiers of the Empire, 러시아, 2006)
<오피서>(The Officers, 러시아, 2006, TV시리즈)
<플래티넘>(Platinum, 러시아, 2007, TV시리즈)
<중요 증거>(Main Evidence, 러시아, 2008)
<플래티넘 2>(Platinum 2: His and others, 러시아, 2009, 감독/배우)
<카라반>(Caravan, 러시아, 2009)
<마린스>(Marines, 러시아, 2011)
<화이트 샌드>(White sand, 러시아, 2011)
<골드 리저브>(Gold Reserve, 러시아, 20112)
<코드 오브 아너 6>(Code of Honor 6, 러시아, 2013, 배우)
<터키식 운송수단>(Turkish transit, 러시아, 2014)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근현대 영화인사전 | 저자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 cp명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전체항목 도서 소개

이 사전은 전 세계 영화인들을 대상으로 한 인명사전으로, 온라인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작성되었다. 본 사전의 표제어는 1) 한국권 (북한 포함), 2) 영..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Daum백과] 무라트 알리예프근현대 영화인사전,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